첫째, 환율정책의 역할을 객관적으로 정립한다.
큰 나라의 경제는 작은 나라의 경제와 다릅니다. 내부 균형이 1차 목표이고, 외부 균형이 2차 목표입니다. 통화 안정은 외부 환율보다는 국내 물가 안정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안정. 국제금융위기 이후 일부 신흥시장의 환율은 등락을 겪었지만, 이전의 경직된 환율 메커니즘에 비해 신흥시장의 경제와 금융시스템이 외부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은 매우 뛰어났다. 약해지기보다는 강해졌고, 외환위기, 금융위기, 심지어 경제위기까지 겪은 적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점진적으로 환율의 본질을 회복하고 환율 변동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환율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인위적이고 장기적인 정책 목표를 설정하거나 환율 조정 효과를 과장하거나 억제해서는 안 된다. 이는 국제수지에 있어서도 반드시 넘어야 할 위안화 환율제도의 개혁이다.
두 번째는 '원죄'에 대한 인식과 국경을 넘는 자본 흐름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을 없애는 것입니다.
경제가 점점 개방되면서 우리나라 경제와 금융, 그리고 세계는 물론 위안화 환율과 글로벌 환율제도의 연결이 점점 더 가까워지면서 외부 충격의 영향도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국경을 넘는 자본 흐름은 불가피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위안화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신흥시장 통화로서 위안화는 우리나라 민간 부문의 순대외부채 패턴, 국내 금융시장 발전의 현 단계에 비추어 볼 때 여전히 위험 자산입니다. 그리고 현재의 국제 통화 시스템은 안전하지 않은 피난처 통화입니다. 이는 대외무역은 중시하고 국내무역은 무시하고, 투자량은 중시하고 투자의 질은 무시하며, 외화유출 관리는 중시하고 외화유입 관리는 중시하는 정책과 제도를 바꿔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또한 국경을 넘는 자본 흐름에 대한 일방적인 사고와 전통을 바꿔야 합니다. 포괄적이고 올바른 위험 인식이 확립되어야 하며, 국경 간 자본의 양방향 흐름에 대해 필요한 허용 범위가 유지되어야 합니다. 과도한 긴장과 혼란을 피하기 위해 돈"또는 자본 도피.
세 번째는 위안화 환율과 이자율, 자본계정 전환성의 시장화를 조정하고 촉진하는 것입니다.
셋 사이에 절대적인 순서는 없지만,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환율 및 금리시장화 측면에서는 외환시장과 화폐시장 사이에 금리 패리티 메커니즘이 존재하며, 국내통화와 외화간의 금리차이는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위안화 환율과 금리시장화가 서로 단절되면 어느 한쪽의 가격 책정 메커니즘이 왜곡되어 상대방의 효율성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환율시장화와 자본계정 전환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엄격한 자본유출 제한이 계속 유지된다면 민간 외국인 투자, 특히 금융투자 수준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현 상황을 적극적으로 헤징하는 것도 불가능할 것입니다. 단기적으로 중기적으로 계속 존재할 계정 흑자, 우리는 중앙 은행에 계속 의존하여 외환을 흡수하고 외환 보유고를 축적하여 통화 정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거나 수동적으로 "날씨에 따라" 동시에 외환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다각화를 방해하게 되며 환율 변동에 대한 조정 대상이 없어지고 환율 형성 메커니즘도 무효화됩니다. 경직되어 환율 오버슈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본계정의 전환성을 촉진하고 양방향 자본흐름에 대한 국제수지의 자율규제 메커니즘을 확립하고 개선하는 것은 환율시장화 촉진과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호의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