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대출자문플랫폼 - 외환 플랫폼 - 2005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은행 지급준비율을 인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005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은행 지급준비율을 인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11월 3일, 중국인민은행은 2006년 11월 15일부터 예금금융기관의 위안화 예금지급비율을 0.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중앙은행이 불과 6개월 만에 예금지불비율을 조정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처음 두 가지 인상은 다음과 같다. 6월 16일 중앙은행은 7월 5일부터 예금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상하겠다고 발표했고, 중앙은행은 8월 15일부터 예금지급비율을 0.5%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인상한다. 예금금융기관의 예금지급율은 0.5%포인트다.

선진 시장경제에서 흔히 '거대도끼'로 여겨지던 예금지불비율이 중국에서는 왜 자주 사용되는 정책 도구가 되기 시작한 걸까?

금융계간 유동성 문제가 다시 부각됐다

우선 법정지준율 인상은 유동성 회복을 목표로 한다. 올해 초부터 중국인민은행은 은행 시스템에서 유동성을 인출하기 위해 다양한 통화 정책 도구(도표 1 참조)를 종합적으로 사용했으며, 과잉 유동성 상황이 완화되었으며 이는 최근 통화 둔화에 반영됩니다. 그리고 신용 성장.

그러나 현재의 국제수지 흑자 모순은 여전히 ​​두드러진다. 경상수지 흑자는 2005년 GDP의 7.1%에서 올해 상반기에는 8%로 늘어났다. 첫 3분기 동안 경제 규모는 더욱 확대되었고, 은행 시스템의 새로운 초과 흐름으로 인해 경제가 여전히 부상하고 있으며 통화 및 신용 지표는 여전히 중국인민은행이 예상하는 목표보다 훨씬 높거나 심지어 그 이상입니다. 유동성의 역동적인 변화에 따라 중국인민은행은 유동성 통제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시 한번 예금 지급준비율을 인상했습니다.

둘째, 국내 경제성장은 여전히 ​​뜨거운 편이다.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일련의 규제정책으로 인해 7~8월 주춤했으나 9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했다.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여전히 ​​소비 증가율의 2배에 달한다. 미국 경제가 둔화됨에 따라 외부 수요가 약화될 수 있으며, 투자가 크게 확대되면 향후 과잉 생산, 디플레이션 및 높은 은행 부실 부채로 이어질 것입니다. [관련 자료: 우리나라 통화정책이 대내외 문제로 지준율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을까?]

미세조정 접근방식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

현재 9월말 외환보유액은 1,691억 달러 증가해 기본통화 증가의 주요 동력이 됐다. 신규 위안화 대출은 2조 7600억 달러에 달해 연간 목표인 2조 5000억 달러를 초과했으며, 이 증가율은 역사적 평균보다 훨씬 높습니다(차트 2 참조). 최근 몇 달간 대출 증가율이 둔화되고 통화승수는 소폭 하락했지만 통화승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신용확대 능력이 여전히 강하고 은행의 중장기 대출이 여전히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발행된 대출 건수, 특히 중장기 대출이 많아 미래 투자의 추가 반등 가능성에 대한 재정적 보증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새해가 다가올수록 은행들은 대개 연초에 대출을 하려는 의지, 즉 '조기 대출과 조기 이익'에 대한 욕구가 더 강해진다. 이때 유동성을 긴축하면 내년 초 대출 증가율의 급격한 반등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대형 국영 상업은행 상장 종료도 현 시점에서 유동성을 긴축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현재 우리 나라의 겉보기 인플레이션율은 낮아서 첫 9개월 동안 CPI 지수가 1.3 상승해 금리 인상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어렵습니다. 게다가 미국 경제는 3분기 성장률이 1.6에 그쳐 1분기(5.6), 2분기(2.6)에 비해 크게 부진했다. 이에 따라 내년 미국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시기도 앞당겨졌다(많은 투자은행들이 내년 미국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올해 중반에서 1분기로 앞당겼다). 금리 인상은 중국과 미국 간 금리격차를 더욱 축소시켜 위안화 절상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법정지준율 인상이 경제와 시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법정지준율 인상이 대출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는 은행의 초과지준율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현행 초과적립금 비율은 올해 중반 3.1에서 9월말 2.5로 낮아졌다. 전체적으로 법정적립금 비율을 높이는 역할이 커지고 있다. 물론, 은행마다 초과 지급준비금 수준이 다르며, 포지션이 작은 은행이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포지션이 큰 은행은 규모가 더 큰 은행인 경향이 있으며, 대출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더 많은 창구 지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포지션이 부족한 은행은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포지션이 느슨한 은행에 자금을 빌려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법정적립금 비율의 증가는 전자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후자에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법정지준율을 0.5%포인트 올리면 즉시 유동성은 1,639억 달러에 고정되며, 승수효과(9월 말 화폐승수는 5.01)를 고려하더라도 인출된 유동성은 8,211억 달러가 된다. 현재 M2의 2.47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단기 금융 시장 이자율은 연중 상승할 것이지만 현재 기업 이익률도 증가하고 있으며(차트 3 참조) 이는 전체 기업 이익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은행 대출에 크게 의존하는 산업은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다.

주식시장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최근 시장은 호황을 누리고 있고 주가도 급등했으며, 당초 많은 시장 참여자들은 올해 통화 긴축 정책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단기적으로 주가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이번 조정은 펀더멘털이 강한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고 위안화 절상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본다. [관련 읽기: 지급준비율 인상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도 적다]

유동성 과잉의 근본 원인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번 법정 지급준비율 인상으로 통화 성장률은 중앙은행이 연초 목표로 설정한 16%에 도달했거나 이에 근접했으며, 신규 대출도 3% 내외로 통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조. 연내 법정지준율을 올리거나 금리를 다시 인상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위안화 가치는 계속해서 상승할 것이며, 자본계정 자유화 속도도 점진적으로 높아질 것입니다. 높은 유동성 문제는 단기적으로 완전히 반전되기 어렵고, 중국 경제는 여전히 강한 성장을 유지할 것입니다.

과잉 유동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현재 우리나라의 유동성이 높은 근본적인 이유는 국제수지의 이중 흑자로 인한 대규모 외환 유입으로 인해 외환결제 후 기준통화에 압박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은행 구조조정 이후에는 이익이 주도되었으나, 현재 우리나라 은행은 대출 외에 다른 이익채널이 부족하여 통화승수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보유액의 증가는 기준통화에 압력을 가하고, 통화승수의 증가는 통화증가를 가속화합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대외무역 흑자는 인구구조의 변화로 높은 저축률이 나타나고, 산업구조의 고도화로 수출경쟁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초기 생산능력의 확대가 강화되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에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입 대체.

위안화 절상으로 대외 무역 흑자를 크게 줄이는 것은 어렵지만, 점진적인 절상은 중국 자체에도 이익이 될 것이다. 산업구조 업그레이드를 촉진하고 수출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해안 지역의 기업이 내륙으로 이동(소위 '진입')하도록 장려하여 지역 간 개발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위안화 절상은 조화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경상수지 흑자는 해소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국제수지의 기본수지를 유지하려면 자본수지 적자가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는 수년간 시행해온 '편리한 진입과 엄격한 출구'의 외환관리 정책을 바꾸고 외국인직접투자, 외국차관, 해외포트폴리오 투자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본유출 경로를 모색할 예정이다. . 예를 들어, QDII의 투자 범위를 확대하면 자금이 "유출"될 수 있는 채널이 열릴 뿐만 아니라 국내 은행의 수익 채널도 추가됩니다. 이는 중국의 이익을 고려한 조치이기도 하다.

높은 저축률과 자본계정 폐쇄는 과잉투자와 자산가격 거품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저축률이 매우 높다. 그러나 5년 후에는 인구구조가 고령화되고 이때부터 저축률은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다. 저축률이 상승하는 시기에 상승한 자산가격은 저축률이 하락하는 시기에 유지하기 어렵다. 이것이 당시 일본의 자산가격 버블이 부풀어오르다가 터지는 근본적인 이유이다. 따라서 자본계정의 개설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자산가격 변동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copyright 2024대출자문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