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수지 경상수지 흑자
그것은 국제 예비비의 주요 원천이다. 가장 중요한 흑자는 무역흑자, 이어 노동력 흑자다. 현재, 각국의 경제 교류에서 노동 균형의 지위가 끊임없이 높아지고 있으며, 많은 나라의 무역수지 적자와 전체 국제수지 적자는 노동 균형의 흑자로 보완되고 있다. 자본의 순유출이 없을 때, 한 나라의 경상 사업이 흑자에 처하면 반드시 국제 비축이 형성될 것이다. 자본의 순유입이 없는 상황에서 한 나라의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면 국제 비축량을 줄일 수밖에 없다.
(2) 국제 수지에서의 자본 계정 잉여
그것은 국제 예비비의 중요한 보충원이다. 현재 국제 자본 흐름은 빈번하고 규모가 크다. 대출자본의 유입이 대출자본의 유출을 초과할 때 자본계좌 흑자가 형성된다. 만약 지금 경상 계좌 적자가 없다면, 이 잉여금은 국제 비축을 형성할 것이다. 이런 준비금의 특징은 부채로 이루어져 있어 만기가 되면 반드시 상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환하기 전에 비축 자산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 나라의 대출 자본 유출이 대출 자본 유입보다 클 때 자본 계좌 적자가 생길 수밖에 없다. 이때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면 국제예비비가 크게 줄어든다. 시장에서 얻은 외환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한 결과도 일부 외환을 얻어 국제 비축량을 늘릴 수 있다. 한 나라의 통화환율이 상승세를 보이거나 수급관계의 영향이 이미 상승할 때, 그 나라 중앙은행은 외환시장에서 공개 시장 업무를 하고, 자국 화폐를 팔고, 외화를 매입하여 그 나라의 국제비축량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 한편, 한 나라의 통화환율이 하락세를 보이거나 이미 하락했을 때, 현지 통화를 매입하고 다른 경통화를 팔아 비축량을 줄인다. 일반적으로 통화환율이 상승하는 나라는 종종 국제수지 흑자가 큰 나라다. 따라서 외환을 구매하여 과다한 외환보유액을 늘릴 필요가 없다. 그러나 개입의 필요성 때문에 자각적으로 외환보유액을 늘릴 수 있다.
이런 개입 형식은 1970 년대 이전에는 주로 단일 국가 개입의 형태로 나타났고, 80 년대는 공동 개입으로 발전했다. 예를 들어 1978 년에는 달러 환율이 폭락했고, 미국은 한때 약 100 억 달러의 독일 마크를 팔아 달러 환율의 하락세를 막았다. 그러나, 1990 년대에는 이런 개입이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1988 은 1 달러대 120 엔의 방어선을 지키기 위해 서방 중앙은행이 공동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했다. 1988 일에만 미국, 일본, 전 연방 독일, 프랑스, 영국이 있습니다. 1997 년 이후 국제금융정세 난동으로 특히 1993 부터 1995 까지 새로운 달러 위기, 1997 동남아 통화위기 발생 이론과 경험에 따르면, 한 국가가 국제거래에서 수출을 줄이거나 재앙적인 자연재해, 전쟁 등 돌발 상황으로 인해 일시적인 국제수지 적자를 초래하고 있는데, 이 적자는 외채를 빌려 균형을 잡을 수 없을 때, 사람들의 선호는 국제비축으로 이 적자를 메우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국가의 국제적 명성을 지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입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하여 적자를 균형잡히고 국가 경제의 정상적인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때 일부 국제비축으로 적자를 균형잡히면 적자국가 정부가 국제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취한 급진적인 경제 긴축 정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늦출 수 있다. 국제 예비비는 여기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한 나라의 국제수지가 근본적인 불균형을 보이면 국제비축량을 동원해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오히려 국제비축이 고갈될 수 있다. 따라서 한 나라 경제가 정책적 실수나 경제구조가 불합리해 지속적인 국제수지 적자를 보일 때,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외환보유액을 포함한 비축 자산을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이것은 국제 예비비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0 개국 그룹' 은 그해 국제비축을 정의할 때, 국제비축이 화폐환율을 유지하는' 개입 자산' 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1973 년 2 월 국제사회가 변동환율제도를 광범위하게 시행한 이후 이론적으로 각국 중앙은행이 환율안정을 유지할 의무를 지지 않고 환율이 시장을 따르지만, 실제로 이런 제도로 환율 변동이 빈번하고 폭이 크다. 따라서, 국가의 이익을 위해, 국가는 통화 환율을 이상적인 수준으로 안정시키거나, 어느 정도 국제 비축을 이용하여 현지 통화를 환전한다. 65438 년부터 0985 년까지 서방 7 개 공업화 국가들이 환율연합개입 메커니즘을 세웠다. 이 메커니즘의 운영 기반 중 하나는 일정량의 국제 비축량을 보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많은 국가들이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자금 수요를 보장하기 위해 외환안정기금을 설립했다. 외환안정기금은 일반적으로 외환, 금, 자국 화폐로 구성되어 있다. 일정 기간 동안 외환환율이 계속 오르고 기준 환율이 계속 하락하면 외환시장에서 외환을 팔고 평준기금을 통해 현지 통화를 매입한다. 반대로, 현지 통화를 팔고, 외화를 매입하고, 환율을 안정시킨다. 외환평준기금이 무궁무진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 나라의 국제수지에 근본적이거나 장기적인 불균형이 발생하고 환율이 계속 오르락내리락하면 평준기금의 사용은 신중해야 한다.
현실적인 예는 충분한 국제 비축, 특히 외환보유액을 유지하는 것이 한 국가의 통화나 지역 통화의 환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충분히 보여준다. 이 사례는 동남아의 통화위기다. 1997 은 태국에서 유래한 뒤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로 확산됐다. 1997 년 7 월 2 일, 태국 중앙은행은 몇 달 동안의 변동 끝에 태국 중앙은행이 13 의' 한 바구니' 통화와 연결된 환율제도를 포기하고 관리 변동을 실시했다. 소식이 발표되자 바트는 달러화에 대한 환율 하락 16% 로 태국 금융위기가 마침내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그리고 필리핀 중앙은행은 투기세력의 타격을 견디지 못했다. 7 월 1 1 일 페소의 달러 환율이 특정되지 않은' 더 넓은' 범위 내에서 변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페소의 달러 환율이 즉시 10% 하락한다고 발표했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심지어 싱가포르의 통화도 영향을 받아 환율이 잇달아 하락하고 있다. 동남아에서 통화 위기가 발발하다.
동남아 국가의 통화 위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곽봉의 경우, 국가경제정책, 특히 통화정책 불균형 (당국이 외자에 문을 열고 국내외에서 대량의 저리 달러 대출을 제공) 을 제외하고는 금융기관이 부동산에 과도하게 투자한다 (위기가 터지기 전 태국은 실제로 대출총액의 50%, 싱가포르는 33%, 말레이시아는 30%). 인도네시아는 20%), 은행 부실 채권 (금융기관 부실 총액 약 400 억 달러), 외채가 높다 (5 월 1997 까지 800 억 달러 이상, GDP 의 49%), 국제수지 경상수지 적자가 너무 크다 (5 월/KK 까지) 태국 1996 2 월 외환보유액 387 억 달러는 태국 고금리 정책으로 형성됐다 (태국 우대금리는 줄곧 13.25% 의 고위직에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금리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 1997 2-5 월 태국은 바트를 안정시키기 위해 소액 외환보유액 중 60 억 달러를 동원해 외환보유액 총량을 더욱 줄였다. 동남아시아의 다른 나라들 (싱가포르 제외) 의 외환보유액도 매우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말레이시아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보유액은 6 월 말 1997 까지는 283 억 5 천만 달러에 불과했고 인도네시아는 3 월 1997 까지는 199 억 달러에 불과했다. 동남아시아 국가의 외환보유액이 보편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통화위기가 닥쳐서 원화가 강력한 외환투기에 충격을 받으면 자국 통화를 지킬 수 없게 된다. 또한 통화위기가 발생했을 때 투기자들의 공격에 직면하여 이들 국가의 중앙은행은 실력에도 불구하고 외환보유액으로 시장에 개입하고 있다. 그 결과 외환보유액 부족으로 개입 효과가 낮아 투기활동 타격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비축 자산에 손해를 입혔다.
국제 예비비와 국제 지급 능력의 차이
국제 유동성, 일명 국제 유동성, 요컨대 한 나라의 해외 지불 능력을 가리킨다. 특히 한 나라가 직접 통제하거나 필요할 때 동원할 수 있는 국제수지 조정, 국제채무 청산, 기준 통화 환율 안정을 지원하는 모든 국제유동성과 자산을 말한다. 그것은 실제로 한 나라의 자체 비축 (일선 비축이라고도 함) 과 차입비축 (일명 2 급 비축) 의 합계입니다.
따라서 국제 유동성, 국제 비축, 외환보유액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국제 유동성은 자체 국제 비축, 차입 비축 및 유도 비축 자산의 합계입니다 (표 1-2 참조). 그 중에서도 자체 국제 비축은 국제 유동성의 주체이기 때문에 국내 학술계에서도 국제 비축을 좁은 의미의 국제 유동성으로 여긴다.
표 1-2 국제 유동성 구성
둘째, 외환보유액은 자체 국제보유액의 주체이기 때문에 국제유동성의 주체이기도 하다.
셋째, 컨버터블 자산은 국제 유동성의 일부로 간주되거나 일반화 된 국제 유동성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지만 반드시 국제 예비 통화가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 화폐들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경제무역왕래와 시장 개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세계경제와 통화체계에서 특별한 지위를 가진 환전화폐가 있어야만 비축화폐가 될 수 있다.
국제 유동성과 국제 비축과의 관계를 정확히 인식하고, 국제신용대출이나 상술한 자금 조달 협정을 최대한 활용하여 한 나라의 통화당국에 단기 자금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외환 자산은 대외 지불 수요를 지원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유럽 통화시장이 각국의 국제상환능력에 미치는 영향, 일부 선진국의 국제비축과 수입비율의 점진적인 하락, 국제통화체계의 문제점, 개혁방안 연구 등 국제금융분야의 중요한 발전을 이해하는 것이 모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