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대출자문플랫폼 - 외환 플랫폼 - 루브르 박물관 협정이 무엇인지 누가 설명할 수 있습니까?

루브르 박물관 협정이 무엇인지 누가 설명할 수 있습니까?

1980 년대 중반에 엔화 대 달러 환율은 두 차례의 큰 조정을 거쳤다. 하나는 일미 무역 분쟁 해결을 위주로 한 6 월 65438+9 월 0985 의 광장협정으로 엔화 대 달러를 대폭 인상했다. 둘째, 루브르 박물관 협정 1987 2 월, 주로 달러 과잉 평가절하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엔화가 달러에 대한 짧은 대폭 하락을 겪었다. 이번 두 엔의 달러 환율에 대한 대폭적인 조정은 일미 무역 마찰과 각자의 국내 정치경제적 이익의 현실적 요구로 인한 것이다. 모두 미국의 주도로 국제사회의 압력과 국제회의의 환율 조정 메커니즘을 통해 추진되고 시행된 것은 일본, 미국 등 국가와 세계의 경제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재 일미 환율의 두 가지 대조정의 경험과 계시를 진지하게 연구하고 총결하며 위안화 환율 안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위안화 환율 형성 메커니즘을 더욱 탐구하고 보완하는 데 긍정적인 현실적 의의가 있다.

첫째, 광장 합의와 엔화 절상

1980 년대 초에 미국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 에 시달렸다. 당시 레이건 정부는 공급측 감세 프로그램을 실시해 경제를 자극했고, 미국 중앙은행은 고금리 정책을 통해 통화공급량을 낮추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했다. 느슨한 재정, 타이트한 통화' 정책 조합은' 스태그플레이션' 완화에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었지만, 동시에 미국 경제에 심각한 잠재적 문제를 가져왔고, 미국의 재정적자와 경상수지 적자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고, 미국의 금리도 당시 대다수 공업국보다 현저히 높았다.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가 GDP 를 차지하는 비율은 1980 년 2.9%, 1985 년에는 5.2% 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는 6543.8 달러 +0245 억 달러로 GDP 의 3% 를 차지했다. 미국 국내 시장 금리가 선진국보다 4% 포인트 정도 높다.

이 기간 동안 일본과 서독의 경제도' 스태그플레이션' 의 타격을 받았지만, 이들 국가들이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경기 회복기에 있었기 때문에 경제 운영의 기본면이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좋았다. 정부의 재정 적자가 크게 줄고 경상 계좌에 대량의 흑자가 있다. 일본 정부의 재정적자가 GDP 를 차지하는 비율은 1980 년에는 4.9%, 1985 년에는1.4% 로 떨어졌다. 서독 정부의 재정적자는 1980 년 GDP 의 2.8%, 1985 년에는 1. 1% 로 줄었다. 일본과 서독의 국내 평균 예금 금리도 미국보다 현저히 낮다.

일본, 미국, 독일 등 선진국 거시경제정책과 경제성과의 차이, 특히 달러화의 고금리 정책은 대량의 외자 유입을 유도해 달러화 환율이 크게 상승했다. 1980 년대 상반기에 달러 환율은 평균 72% 상승했다. 사실, 달러의 높은 환율은 거대한 투기 거품을 숨기고 있다. 달러 환율 상승, 재정적자, 무역적자가 높은 기업, 미국의 취업압력 증가, 국민 불만 증가, 무역보호주의 성향 상승. 당시 미국의 주요 의견은 일본과 서독이었다. 미국 정부는 국제사회에 환율조정을 강화해 엔화 등 비달러 화폐에 대한 달러화의 적정한 평가절하를 촉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일본과 서독은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40 여 년의 발전을 거쳐 상당한 경제력을 축적했다. 양국 정부 모두 무역 마찰로 미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싶지 않다. 한편, 그들은 엔화와 마크의 달러화에 대한 평가절상도 엔화와 마크의 국제화에 유리하고 일본과 서독의 국제적 지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엔화에 대한 달러 가치 상승은 국제사회의 조정 생존의 기본이익에 부합하며 국제정치경제요인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1985 년 9 월, 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를 포함한 5 개 선진국 (G5 국가) 의 재무부 장관과 중앙은행장이 뉴욕 광장 빌딩에서 협정에 서명하고 국제' 협동개입' 을 통해 엔화 대 달러 가치 상승을 차근차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의에서 서명한 협정은 역사적으로' 광장 협정' 이라고 불린다.

광장협정에 따르면 G5 국가는 국제환율에 대한' 협력 개입' 을 강화해야 하며, 2 년 반 동안 달러대 엔화 환율을 1 에서 120 으로 올려야 한다. 당시 국가 간 장기 금리 차이도 국제 외환시장의 자본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광장협정 정책의 조화에도 이 분야가 포함됐다. 광장협정 당시 30 년 동안 미국 장기 국채금리는 65,438+00.8% 였다. 미국은 금융정책을 완화한 뒤 1986 년 여름에 7.3% 로 떨어졌다. 이 기간 동안 미국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 은행은 연방 기금 금리를 4 차례 낮춰 광장 협정의 7.5% 에서 8 월 1986 의 5.5% 로 낮췄다. 그러나 일본의 금융조정은 국내 장기 금리를 기본적으로 안정시켰다. 일본의 장기 국채금리는 합의 당시 약 5.8% 였고 1986 년 초에는 이 수준을 유지했다. 일미 장기 금리차의 축소는 자본이 미국으로 흘러가는 압력을 경감하고, G5 국가는 외환시장에 대한' 협력 개입' 을 강화해 달러화의 평가절하를 강력하게 추진했다. 1985 년 말 달러대 엔화 환율이 1 200 엔으로 하락한 뒤 1986 여름에 1 대/Kloc-0 으로 떨어졌다

둘째, 루브르 박물관 합의와 달러 환율의 안정성

광장협정 이후 달러화 대 엔화 등 비달러 화폐가 크게 평가절하됐지만 미국 정부가 재정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지 못해 통화평가절하에' J 곡선 효과' 가 있어 광장협정 이후 2 년여간 미국 대외무역적자가 줄어들지 않았다. 1987 년 미국 무역적자가 1680 억 달러로 GDP 의 3.6% 를 차지했으며, 이 중 3/4 적자는 일본과 서독의 경상수지 흑자에서 나왔다. 미국 무역 균형이 악화되면서 외채가 급증하면서 외자 유입에 영향을 미치고 달러화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떨어졌다. 달러 가치 하락을 계속하는 것은 분명히 폐단이 이익보다 크고, 미일과 서독의 무역 마찰이 심화되고 있다. 동시에, 엔화와 마크의 상승의 영향으로 일본과 서독의 대외 무역 수출이 하락하고 경제 성장이 감소했다. 일본의 경제성장률은 1985 년 4.2% 에서 1986 년 3. 1% 로 떨어졌고 서독의 경제성장률은1985-로 떨어졌다 일본과 서독은 미국이 광장 협정에 따라 재정적자를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한 것에 불만을 품고 있다. 게다가, 달러의 급격한 평가절하도 국제 외환시장과 세계 경제에서 큰 충격을 가져왔다. 주요 선진국들은 달러 하락을 빨리 제지하고 달러 환율의 기본 안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세계 각국의 공동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때 미국은 국내 금리를 인상하여 국제 자본 유입을 유치하고 달러의 과도한 평가절하를 늦출 수 있다. 하지만 국내 경기 침체가 우려돼 미국은 국내 금리를 올리는 것을 꺼려하고 일본과 서독은 금리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

미국의 주도로 국제외환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달러화 환율이 너무 빨리 하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국제조정을 통해 선진국이 직면한 정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7 년 2 월, G7 국가의 재무부장과 중앙은행장은 파리 루브르에서 G7 국가가 국내 거시정책과 외환시장 개입 방면에서' 긴밀한 조화와 협력' 을 강화해 당시 달러를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의의 합의는 역사상' 루브르 박물관 협정' 이라고 불린다.

루브르 박물관 협정' 은 7 개국 그룹이 달러 환율 안정과 세계 경제의 조화 발전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밀접한 협력' 을 강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더욱 균형 잡힌 글로벌 경제 성장이 국제외환수지 균형 촉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사실, 이것은 미국 무역 파트너가 경제 성장을 가속화하는 것이 미국 국제수지의 불균형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협정의 주요 협정은 일본과 서독이 내수 자극 계획을 실시하고 미국은 재정적자를 더욱 삭감하는 것이다. G7 국가는 외환시장에서' 개입과 조정' 을 강화하고 엔화와 마크 환율에 대한 미국 달러의 비공식 변동을 은밀히 유지하며 환율 변동이 5% 를 넘는 예상 목표를 초과하면 협력과 개입을 강화한다. 루브르 박물관 협정 이후 2 년여 동안 주요 국제통화환율은 기본적으로 안정되어 큰 변동이 없었다.

셋째, 일본-미국 경제에 대한 두 가지 환율 조정의 영향

광장 협정과 루브르 박물관 협정은 일본과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 경제의 경우, 전반적인 긍정적인 효과는 부정적인 효과보다 크다. 이 두 협정은 본질적으로 미국 정책과 경제적 이익의 지도하에 체결된 것이다. 특히' 루브르 박물관 협정' 이후 미국 대외무역 수출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무역적자와 재정적자가 모두 크게 감소했다. 1987- 1990 년 미국 대외 무역 수출 증가율은 10% 이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미국 경상수지 적자는 6543.8+068 억 달러에서 920 억 달러로 GDP 의 654.38+0.6% 를 차지했다. 정부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을 차지하는 비율이 4.5% 에서 3.4% 로 떨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분명히 미국의 경제 패권을 강화하고 국내의' 스태그플레이션' 과 취업 압력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하지만 루브르 박물관 합의 이후 미국 태도가 너무 강경해 일본과 서독은 금리를 낮췄지만 일본과 서독은 국내 경제 상황으로 금리를 낮추기 어려웠다. 시장 기대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뉴욕 주식시장은 6 월 1987+ 10 월 19 에 심각한 주가 폭락을 보였다. 뉴욕 주식시장은 이날 22% 폭락해' 블랙 월요일' 이라고 불린다. 한편 광장 협정 이후 달러의 대폭 평가절하로 미국은 점차 순채권국에서 순채무국으로 바뀌게 됐다. 1986 년 말까지 미국의 대외순채무총액은 2636 억 달러로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순채무국이었다.

일본 경제의 경우, 1985 의 광장 협정은 엔화 상승세를 촉진하여 사실상 향후 일본의' 거품 경제' 의 도화선이 되었다. 광장협정이 체결된 이듬해인 1986, 일본에서 엔화 상승으로 인한 불황이 발생했다. 대외 무역 수출 증가율은 1985 의 2.4% 에서 1986 의 -4.8% 로 떨어졌고, 실제 경제 성장률은 1985 의 4./Kloc-0 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당시 일본 경제는 전반적으로 회복성장의 상승기에 처해 있었고, 국내 각 업종은 일반적으로 일본 경제 발전 전망에 대해 낙관적이고 자신감이 넘쳤다. 한편 광장 협정은 엔화를 상승시켜 소비재 가격을 낮추고 주민의 실제 수입을 늘리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일본 내 민간 소비 지출이 크게 늘면서 민간 소비가 이끄는 투자 열풍이 일본 내 총 수요의 빠른 확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냈다. 한편 광장협정 전후 일미 무역 마찰을 완화하기 위해 일본은 엔화 대 달러 상승에 동의하면서 수입시장을 개방하지 않고 느슨한 통화정책을 시행해 미국 상품 수입, 특히' 초저금리' 정책을 추진했다. 일본 중앙은행은 1986 부터 65438+ 10 월까지 엔화 상승이 국내 경제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1986 부터 1987 까지 루브르 박물관 협정 이후 일본 중앙은행은 이런' 초저금리' 의 2.5% 를 5 월 1989 까지 27 개월 동안 유지했다. 일본 은행의 공식 금리는 오랫동안 낮은 수준에 처해 있어 금융기관 대출의 대량 증가를 효과적으로 촉진시켰다. 일본 금융기관의 대출과 GDP 의 비율은 1980 년대 초 약 50% 로 80 년대 말까지 100% 로 상승했다. 1987- 1989 기간 동안 일본 화폐 공급 (M2+CD) 연간 성장률은 각각 10.8%,1이었다

통화정책의 극심한 확장으로 일본 경제 성장률은 1988- 1990 년 각각 6.0%, 4.4%, 5.5% 로 80 년대 초 3% 안팎의 평균수준과 같은 기간 다른 선진국 수준을 크게 넘어섰다. 이와 함께 대량의 잉여 자금이 주식과 부동산 분야로 유입되면서 주가와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다. 1987- 1989 년 일본 주가는 평균 94%, 도시 땅값은 평균 103% 올랐다. 같은 기간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는 평균 3. 1% 상승했다. 자산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거품 경제가 붕괴하기 오래 전 일본 중앙은행과 경제기획부는 자산가격 거품 199 1 을 충분히 중시하지 않았다. 당시 정책 결정은 실물경제의 성장, 소비가격의 안정, 국제수지의 균형에 더 중점을 두었다. 금융부문과 자산가격에 약간의' 이상' 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의사결정당국은 당시 물가 안정과 지속적인 경제 성장으로 금융부문의' 이상' 에 대해 경고했을 뿐, 제때에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런 식으로 신용의 증가는 거품을 낳고, 거품의 팽창은 신용의 증가를 촉진하며, 신용의 증가는 또 더 거품을 낳는다. 1989 년 말까지 일본은 이미 거품 경제에 전면 진입했다.

거품 경제가 계속 팽창하면서 일본 정부는 점차 압력을 느끼고 있다. 1989 년 5 월 일본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방향을 바꿔 2 년여를 유지한 2.5% 의' 초저금리' 를 3.25% 로 올렸다. 1989 년 말 거품 억제를 극력 주장한 삼야가 일본 중앙은행장으로 취임하면서 취임 초기부터 공식 할인율을 3.75% 에서 4.25% 로 올려 일본의' 초저금리' 시대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일본 중앙은행은 5 월 1989 부터 8 월 1990 까지 공식 할인율을 5 회 인상해 최대 6% 까지 올렸다. 한편 일본 중앙은행은 금융기관에 부동산업에 대한 대출 투자를 제한할 것을 분명히 요구했다. 199 1 까지 은행은 실제로 부동산 산업에 대한 신규 대출을 중단했다. 일본의 통화공급량 증가율은 1990 에서 7.4%, 199 1 에서 2.3% 로 떨어졌다. 신용 긴축으로 인해 일본의 거품 경제는 199 1 에서 붕괴를 시작한 이후 줄곧 침체 상태에 처해 있다.

copyright 2024대출자문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