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대출자문플랫폼 - 외환 플랫폼 - P-17 미사일은 많은 전쟁에서 사용되었습니다.

P-17 미사일은 많은 전쟁에서 사용되었습니다.

P-17 미사일은 많은 전쟁에서 사용됐다

P-11과 P-17 시리즈 미사일의 발상지는 소련이지만, 이 미사일 시리즈의 영향력은 소련을 훨씬 넘어 확장됩니다. 냉전시대 소련은 자국의 장비와 더불어 이 시리즈의 미사일을 군사외교의 중요한 자원이자 미국과의 경쟁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여 다른 나라로 수출했다. 원조와 무기 판매를 통해 대량으로.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이 시리즈의 미사일을 장비하고 있으며 이 시리즈를 기반으로 자체 미사일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미 1950년대 후반부터 소련은 재래식 탄두를 장착한 P-11M을 바르샤바 조약국에 수출한 바 있다. 통계에 따르면 바르샤바 조약 국가에는 폴란드에 4개, 불가리아와 체코슬로바키아에 각각 3개, 동독과 루마니아에 각각 2개, 헝가리에 1개 등 이러한 유형의 미사일 여단이 15개 있습니다. 이들 국가의 미사일 전력 규모와 미사일 발사 차량의 수는 소련을 능가한다. 이런 종류의 미사일이 대규모로 확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2000년대, 특히 1970년대에는 소련의 정치적, 군사적 영향력이 글로벌 파업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세계의 영향력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소련 사이의 투쟁이 격화되었고, 그 배후의 주역인 그를 두고 벌이는 대리전이 세계 곳곳에서 시작됐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미사일은 세계의 더 넓은 지역, 더 많은 국가로 흘러들어갔습니다.

1960년대 중반, 이집트는 이스라엘에 맞서기 위해 소련과 P-17 미사일을 도입하기로 합의했는데, 소련은 이를 P-17(러시아 수출의 이니셜)이라고 불렀다. 1970년대 중반 이후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 예멘 등 중동 국가들은 조달과 군사 지원을 통해 P-17 시리즈 미사일을 장착하기 시작했다.

그 중 이라크는 막대한 양의 석유달러를 외화로 사용해 천 개에 가까운 물건을 구입했다. 게다가 1980년대 베트남과 아프가니스탄도 일정 수의 P-17 미사일을 보유했다. 아프가니스탄은 1989년 소련의 철수로 인해 남겨졌고 이러한 유형의 미사일이 두 번째로 확산된 곳이 되었습니다.

1991년 소련이 붕괴된 후 소련의 배분계획에 따라 소련 동맹국에 주둔하고 있던 지상군과 그에 상응하는 장비는 해당 독립국의 군대와 장비가 됐다. 따라서 1990년대 초 벨로루시,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및 기타 구소련 독립 국가들도 일정 수의 P1-7 미사일을 보유하여 이러한 유형의 미사일이 세 번째로 확산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미사일의 '월드 투어'는 끝나지 않았다. 1970년대 후반,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평화회담으로 인해 초기에는 아직도 P-17 미사일이 많이 도입되어 쓸모가 없어 보였다.

이집트는 남은 미사일을 선물이나 무기판매 형태로 아시아 국가에 넘겨줬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1965년 처음으로 P-11 미사일을 획득했다. 이 P-17 미사일을 획득한 후 분석과 연구를 거쳐 이란으로의 모방 및 수출에 성공했다. 이란은 이를 기반으로 한 '메테오' 시리즈 미사일을 개발했다. 당시 이란과 싸우고 있던 이라크는 1980년대 중반 P-17 미사일을 개량해 사거리 600km의 '후세인' 미사일을 발사한 데 이어 사거리 600km의 '아바스' 미사일을 개발했다. 미사일. 범위는 900km입니다.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21개국이 소련의 P-11, P-17 미사일이나 그 모방품을 보유하거나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수상무기를 갖춘 전체 국가의 약 60%를 차지한다. - 대지 미사일. 특히 제3세계 국가의 지대지 미사일은 대다수가 소련의 P-17 미사일이거나 이를 기반으로 개발돼 제3세계 국가에서는 '미사일의 어머니'로 불린다.

냉전 시대에는 이런 종류의 미사일이 실제 전투에서 여러 차례 사용됐다. 1973년 10월 제4차 중동전쟁 당시 이집트는 여러 발의 P-17 미사일을 이스라엘을 향해 발사했으나 목표를 맞추는데 실패했다.

P-17 미사일이 실제 전투에 투입된 최초의 기록이다.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양측은 대규모 미사일 공격을 감행했다. 1988년 2월 29일부터 4월 21일까지 양측은 52일간 도시에 미사일 공격을 가했습니다.

이라크는 189개의 미사일을 발사했고 이란 내 40개 도시가 공격을 받아 9,9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991년 걸프전 당시 이라크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 85발을 발사했고, 미군은 이를 요격하기 위해 패트리어트 2호 미사일 160여 발을 발사했다. 일반적으로 이라크가 발사한 미사일의 대부분은 의도한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고, 착륙해 폭발한 미사일도 일부 실제 피해는 제한적이었다.

가장 효과적인 점은 미군 미사일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인해 미사일이 요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 결과 사우디아라비아 다란의 미군 기지를 정확하게 명중해 미군 28명이 사망하고 100명 가까이 부상을 입었다. 이라크는 주로 자체 개량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오리지널 P-17 미사일을 기반으로 탄두 중량을 줄이고 연료 저장 용량을 늘렸다. 이에 따라 미사일 탄두 무게는 약 500kg에 불과하고, 추진제 저장 용량도 4톤 미만에서 5톤 가까이 늘어난다. 사거리가 300km에서 500km로 증가하지만 명중률과 피해 효율이 감소합니다. 더욱이 기술적 한계로 인해 개량미사일의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도 전쟁 중 상당수의 미사일이 비행 중 자동으로 지상에 추락하거나 공중에서 폭발해 목표물에 도달하지 못한 이유이기도 하다. 1994년 예멘 내전과 1999년 제2차 체첸 전쟁에서 사용됐다. 전쟁에 참전한 러시아군 독립 미사일 대대가 1년 반 동안 약 250기의 P-17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한다.

2011년 리비아 전쟁과 2012년 시작된 시리아 내전에서도 리비아와 시리아 정부군이 이런 종류의 미사일을 사용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러한 유형의 미사일은 사람들의 시야에서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계속해서 새로운 방식으로 장기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2024대출자문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