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is A.Kasekende 의 우간다 자본계좌 개방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국내 저축이 부족하고 자본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에서 자본계좌 개방의 주요 장점은 자본계좌 개방을 통해 외국 사자본을 도입하고 투자율을 높이고 소비를 부드럽게 하며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간다와 같은 외환수입이 계절에 따라 크게 변하는 국가). 우간다 자본계좌 개설 과정에서 사람들이 걱정하는 것처럼 대량의 단기 자본 흐름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우간다의 자본 계좌 개방 정책은 경제 성장을 촉진시켰다.
Jang C.Jin 은 북한 1953- 1999 대외 개방과 경제 성장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검사 결과 둘 사이에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런 관계는 최근 몇 년 동안 약화되고 있다. 이는 수입이 더 이상 수출 성장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James Crotty 와 Kang-Kook Lee 는 한국이 1997 전후에 채택한 자유화 정책이 경제에 피해를 입혔다고 판단하며, 한국이 원래의 정부 주도와 은행 기반 경제 모델을 새로운 자유경제 모델로 대체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다.
Basudeb Guha—Khasnobis 와 Saumitra N.Bhaduri 는 금융자유화 조건 하에서 인도 금융기관의 자원 구성 기능의 효과를 연구했다. 그 결과, 금융 자유화의 첫 몇 년 동안 보다 효과적인 부문으로 흐르는 자본이 증가하지 않아 전체 경제의 투자 구성 효율성이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99 1 따라서 투자 자금의 배치 효율성이 향상되지 않고 나쁜 투자의 시작에 불과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금융 자유화는 인도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지 못했다.
필라데밀은 터키가' 잃어버린 10 년' 에서 경제 실적을 연구하고, 공공부문과 국내은행이 금융위기 회복에서 발휘한 역할과 외채와 자본외탈의 관계를 분석해 외채와 자본외탈 사이에 양방향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것은 또한 터키 경제 위기의 관건이다. 금융자유화로 인한 외채의 과도한 성장과 자본외탈의 촉매 작용으로 터키 경제가' 잃어버린 10 년' 에서 정체되거나 퇴보하는 것이다.
셋째, 자본계좌 하위 계좌 개방과 경제 성장의 관계 (1) 직접투자계좌 개방과 경제 성장의 관계.
국내외에서 외국인 직접투자와 경제 성장의 관계에 대해 일치된 결론은 없지만 최근 몇 년간 경제학이 발전함에 따라 외국인 직접투자가 경제 성장에 유리하다는 견해를 지지하는 학자들이 늘고 있다. 그들은 외국인 직접투자가 기술 진보를 촉진하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여 경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1. 유익한 이론
실증연구에서 학자들은 외국인 직접투자가 경제 성장에 유리하다는 많은 증거를 발견했다. 예를 들어, 경제 선진국의 경우, 경제 선진국의 국내 기업의 생산성은 외국 기업의 진입과 관련이 있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외자기업이 많을수록 동도국의 생산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면 멕시코의 FDI(kok ko and Zejan)1994; 브로임스트런, 1996), 우루과이 (브로임스트런,1996; Kokko 와 Zeijan 1994) 와 인도네시아는 모두 경제 성장에 유리하다. DeMello( 1996) 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샘플을 선정하여 FDI 가 경제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증명했다. 케빈 장홍림은 중국1984-1998 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외국인 직접투자가 중국의 경제전환과 소득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것처럼 보이며, 연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내륙 지역보다 더 크다. Jean-Claude Berthelemy 와 Sylvie Demurger 의 모델은 외국 기술 이전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고 경제 성장이 오히려 외국 자본의 유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중국 24 개 성 1985 에서 1996 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FDI 가 중국 각 성의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FDI 가 미래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했다. Dees( 1998) 도 FDI 가 중국 경제 성장에 대해 강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2. 불리한 이론
Ana Balcao Reis 는 FDI 가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본수익이 외국으로 이전돼 사회의 전반적인 복지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에 불리하다고 보고 있다. 안토니 벤더 나벤더는 1970- 1996 에서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제를 연구한다. 그 결과 외국인 직접투자가 경제성장을 자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자원과 변간변학의 효과를 통해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은 최빈 개도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4 개 개발도상국을 연구한 후, Ushanair-Reichert 는 투자 (외국인 및 국내 투자 포함) 와 경제 성장 사이에 우연한 연계만 있다고 판단했다. 국내 투자는 경제 성장과 강한 일시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 같지만 미래 경제 성장의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Rodrik (1999) 도 FDI 가 현지 기업의 발전을 자극하여 동도국의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의심했다. 그는 국내 수출기업의 높은 생산성은 반드시 외자기업에 의해 추진되는 것이 아니라 수출부문의 국내 기업의 생산성이 다른 부문의 국내 기업보다 높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반드시 국제 경쟁에 직면해야 하기 때문이다. Aitken 과 Harrison( 199 1) 은 FDI 와 경제 성장 사이에 상당한 상관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해리슨 (1996) 은 모로코와 베네수엘라의 합자 기업의 생산성 수준이 국내 기업보다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외자기업이 국내 기업을 촉진할 수 있다는 증거는 없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FDI 가 국내 시장 점유율을 점유하여 국내 기업의 자금 활용도를 낮추고 국내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외자기업이 국내 기업에 촉진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FDI 의 경제 효율성 향상에 반대하는 다른 학자들은 Kmgman( 1998) 과 Razin, Sadka, 위안 (1999) 이 있다. 크루그먼 (1998) 은 국내 회사를 운영하는 데 국내 투자자가 외국 투자자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렇지 않으면 외국 투자자는 국내 투자자가 아닌 동도국의 제 1 투자자다). 금융위기 상황에서 국내 투자자의 유동성이 약해질 수 있고 (외국인 투자자는 그렇지 않음), 외국 기업이 중류 프로젝트를 인수하거나 인수하는 것은 수익성이 있다. 그러나 국내 자산이 이런 방식으로 외자로 이전하는 것은 국내 기업으로 이전하는 것보다 효율이 낮다. 이런 이전은 외자 현금 흐름이 충분하기 때문이지 외자 기술 및 관리 선진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상황에서 크루그먼은 외국 자본이 국내 기업을 인수한 것은 특별한 장점이 있거나 국내 기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견해 때문이다. 라청, 사드카, 원 (1999) 은 이런 현상이 정보 비대칭의 표현이며 FDI 투자자들은 주요 계열사의 내부 정보를 얻을 수 있어 국내 투자자보다 정보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직접투자자들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다국적 주식을 거래할 때 국내 투자자보다 더 유리한 위치에 있다. 하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투자자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은 미래 국내 주식시장의 거래 기회를 예측할 때 지나치게 급진적인 경우가 많아 과잉 투자와 비효율적이다.
3. 이익 이론의 발전
FDI 가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유익한 이론을 더욱 보완하고 FDI 가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전제조건을 제시했다.
(1) 외자기업의 내자기업 승진은 내자기업과 외자기업의 기술 격차에 달려 있다. 외국인 직접투자 촉진은 국내 기업의 외국 기술 흡수 능력에 달려 있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Imbriani 와 Reganati 의 연구에 따르면 기술 차이가 큰 기업에 비해 기술 차이가 적은 이탈리아 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의 효율성 향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Blomstrom( 1986) 에 대한 멕시코에 대한 연구도 외자가 부서 내 생산성 차이가 큰 기업에 대한 촉진 작용은 크지 않지만 부서 내 기술이 간단한 기업에 대한 촉진 작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Kokko 등 (1994) 도 멕시코와 우루과이의 연구에서 비슷한 결과를 발견했다. Borenzstein, DeGregorio, Lee 는 직접 투자가 두 가지 채널을 통해 동도국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발견했다. 하나는 더 높은 수준의 국내 투자를 유치함으로써 총 투자 규모를 확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선진 기술과 동도국 인적자본의 통합을 통해 국내 투자와 생산량 증가를 촉진하는 것이다. FDI 는 국제 기술 이전의 주요 채널로 경제 성장에 유리하며, 이러한 효과는 동도국 인적자원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강화될 것이다.
(2) 외자기업이 국내 기업에 대한 촉진 작용은 동도국의 투자 환경에 달려 있다. 모란 (1998) 은 자유로운 투자 환경이 외자 기업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자유로운 투자 환경이 더 역동적인 외자기업을 중국으로 끌어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외자기업 자체도 대규모로 규모의 경제의 이점, 우수한 관리 등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자유로운 투자 환경은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생산 및 판매 네트워크의 일부인 수출 지향 기업을 장려할 수도 있습니다. 이들 회사는 모회사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모회사는 신기술을 제공하고, 기술 갱신을 가속화하고, 비용과 품질 관리를 강화하고, 회사 관리와 인적 자원 개발에 적합한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또한 안영 (1998) 은 국내 규제가 엄격한 경우 품질 관리 시스템 및 적시 인벤토리 시스템을 포함한 고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 지연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Blomstrom( 1995) 은 국내의 외국인 직접투자 통제가 보통 기술 도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b) 증권 투자 계좌 개설과 경제 성장의 관계
1. 유익한 이론
이 관점을 고수하는 학자들은 다른 경로에서 증권투자계좌 개설이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데 유리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자본 시장이 개방되고 자유화되면 자본 비용을 절감하고 추가 투자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자본 시장의 개방은 금융 및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보다 효율적인 시장 (Bekaert, Harvey and Lundblad, 200 1) 을 의미합니다. 자본 시장의 자유화는 동도국이 가장 선진적인 금융 기술을 얻을 수 있게 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더 나은 금융정책과 금융체계도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린우드와 요바노비치,1990; Bencivenga, Starr, Smith, 1996).Bekaert 등 (200 1) 도 금융자유화가 5 년 만에 1 인당 GDP 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결론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베카르트는 자유화 기준 시간, 국가조합, 계산표준편차의 가중치, 경제성장을 측정하는 기준 시간을 다르게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테스트는 거시경제개혁의 영향이나 경제주기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케빈 (200 1) 은 증권시장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면 증권시장의 유동성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레빈 (1996) 은 외자은행의 진입이 경제 성장에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을 상세히 논증했다. (1) 외자은행의 진입장벽을 낮추면 한 나라의 금융부문이 국제금융자본시장과 더욱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2) 외국 은행의 진입 통제를 완화하면 경쟁을 자극하고 국내 금융 시장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외국 은행의 진입은 첨단 기술 및 관리 경험을 가져오고, 국내 은행의 품질과 가격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3) 외자은행의 진입은 국내 금융정책의 보완과 금융기반시설의 건설을 촉진할 수 있으며, 오히려 국내 금융의 발전을 촉진할 것이다. 한편, 레빈은 외자은행의 진입에도 국제자본 유출, 외자통제, 국내 금융시장, 외자 통제 등 이윤 극대화만 추구하고 동도국의 금융안전을 고려하지 않는 등 부정적인 영향이 많다고 인정했다.
E.Han Kim 과 Vijay Singal 은 신흥시장 국가들이 외국 자본이 주식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허용한 이후 경험을 조사함으로써 자본 흐름과 관련된 수익과 위험 사이의 관계를 연구했다. 그 결과, 주식시장의 세계화로 주가가 눈에 띄게 상승할 수 있지만, 주식수익의 변동은 동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식시장이 개방된 이후 인플레이션과 환율의 변동이 눈에 띄게 줄어 국가 거시경제의 안정과 경제 성장에 유리하다. 원국카이와 마틴 S. Chin 은 금융자유화가 금리를 올리고 새로운 금융상품을 혁신함으로써 금융중개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자본 집중 과정을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고 보고 있다. 위성금. Esmeralda Lyn 과 Edward J.Zychowicz 는 주식 시장의 자유화로 기존 시스템이 기업 지배 구조를 지원하지 않는 비효율성을 낮출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피터 블레어 헨리는 주식시장의 자유화가 민간 투자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느 각도에서 국내 자본시장 개방이 경제 성장에 유리하다는 것을 증명하든 학자들은 이것이 일련의 금융개혁의 유기적 구성 요소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자본 시장 이전에 우리는 먼저 거시경제 안정 (재정 및 통화 정책 포함) 을 확보하고, 합리적인 시장 가격 체계를 세우고, 회사에 대한 명백한 세금이나 보조금을 없애고, 국유기업의 민영화를 장려해야 한다. 자본시장의 개방은 국내 금융체제 개혁과 동기화되어야 하며, 외국 실체경제자유화 (무역장벽 취소, 경상수지 개방) 와 동기화되거나 조금 늦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본 통제는 자본 계좌의 변동 환율 제도에 따라 취소될 것이다.
2. 불확실성 이론
상술한 관점과는 달리 증권 투자 계좌와 경제 성장 사이의 관계는 불확실하다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대표인물은 조셉 스티글리츠 (Joseph E.Stiglitz) 로 자본 시장의 개방이 생산량의 증가와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긍정적인 효과는 (1) 자본시장의 개방이 국민총생산 (GNP) 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2) 국제 경쟁은 자금에 대한 수요를 자극하여 매력적인 경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3) 자본 시장이 개방된 후, 정부 또는 미시경제는 투자 다원화 또는 헤지 도구를 통해 경제를 안정시킬 수 있다. (4) 한 나라의 자본시장 개방도 세계 다른 나라의 융자원을 확대했다. (5) 자본 시장의 개방도 상품 서비스 시장의 개방과 비유할 수 있다. 그러나 자본시장 개방에도 부정적 효과가 있다. (1) 금융자본 부문은 일반 상품 서비스 부문과는 달리 자본자유화와 무역자유화는 쉽게 비교할 수 없다. (2) 자본 흐름은 경제 불안정의 원인은 아니지만, 경제 격동을 가속화하고 심지어 금융위기를 초래하기도 한다. (3) 자본 시장의 자유화가 GNP 를 최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합리적이지만, 경제 발전의 핵심 문제 중 하나는 자본이 경제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한 발전의 최종 동력이 아니라는 것이다. (4) 자본시장 개방이 자금원을 확대할 수 있다는 관점도 문제가 있다. 더 많은 단기 자금 유동층이 기초투자를 제공할 수 있을까? 단기 자본 흐름에 대한 규제가 외국인 직접투자나 기타 장기 투자를 방해할 수 있습니까? 대답은' 아니오' 이므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최종 결과는 불확실하다. 자본시장 개방이 한 나라의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결국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 나라가 자본계좌에 대한 통제가 유효한지 여부에 달려 있다. Hiroyuki Kawakatsu 와 Matthew R.Morey 가 9 개 신흥시장 국가를 연구한 결과 자유화가 신흥시장의 효과를 높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obinHangLuo 와 춘강은 1993 에서 2004 년까지의 중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경상수지 자유화와 자본 규제 완화가 중국 주식시장 수익과는 뚜렷한 관계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자본 계정 자유화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하다.
넷째, 경제 성장과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 현황. 대외 개방은 우리나라의 기본 국책이므로 자본계좌 개방 문제도 국내 학술계에서 논의되는 이슈이기도 하다. 중국 자본 계좌 개방과 경제 성장의 관계에 대해서도 다른 견해가 있다. 한편으로는 자본계좌 개방이 위험으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한다 (고해홍,1997; 강포크,1999; 장려경, 2004 년); 반면에, 그것은 한 나라의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후주육, 200 1). 국내 학자들은 기본적으로 자본 계좌의 질서 정연한 개방이 중국의 경제 발전 (관타오, 2002) 에 유리하다는 인식을 형성했다. 여영정, 2003 년 반영리, 2004 년; 경학성, 2004 년). 자본 계좌 개방과 경제 성장 관계의 질적 연구는 많지만 정량 연구는 매우 적다. 자본 계정 개방의 위험, 전제 조건 및 개방 전략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자본 계정 개방이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중국이 자본 계좌 개방을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국민 복지를 높이는 과정에서 자본 계좌 개방의 수익, 성장을 촉진하는 조건, 금융 발전, 제도 개선을 모두 더 연구해야 한다. 국제적으로는 자본계좌 개방과 경제성장 관계에 대한 인식이' 워싱턴 인식' 에서' 워싱턴 불동의',' 워싱턴 신인식' 에 이르는 반복적인 논쟁을 거쳐 많은 연구 성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많은 유익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1. 국내외 기존 이론 연구는 주로 자본계좌 개방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개발도상국에 비해 경제선진국의 자본계좌가 개방되고 자유롭기 때문에 연구자본계좌 개방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에 미치는 역할을 연구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기 때문이다.
2. 연구에 따르면 각국은 자본계좌 자유화가 경제성장을 촉진하는지 여부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학자들은 양자가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떤 학자들은 음의 상관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떤 학자들은 양자관계가 불확실하다고 생각한다. 자본계좌 (직접투자계좌와 증권투자계좌) 하위 계좌 개설과 경제성장 사이의 관계는 일치하지 않는다. 일부 학자들은 기존 연구가 다른 샘플 국가, 측정 지표, 연구가 적용되는 시기, 실증 검사 방법 등을 채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결론은 다르다. 그러나 필자는 이미 공인된 원인과는 달리 학자들의 연구 결과가 다르고, 더 중요한 것은 각국의 경제 문화 정치 발전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자본계좌 개방과 경제 성장에 관한 관계는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결론이 없다고 생각한다.
3. 자본계좌 개방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것은 완벽한 체제와 제도에 달려 있다. 따라서 중국 자본 계좌 개방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경로를 찾아내 중국 경제가 세계화의 복지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취약한 금융체계와 관련 제도 보장이 부족한 상황에서 자본계좌 개방은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4. 자본계좌 개방은 어떻게 경제 발전의 경로를 촉진합니까? 고전적 또는 내생적 성장 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그것은 다양한 요소의 축적과 기술 진보를 강조하고, 금융 발전과 제도적 요인의 두 가지 측면에서 자본 계정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경로를 탐구한다.
따라서 중국의 구체적인 국정과 경제조건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자본계좌 개방이 중국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경로를 찾아내 중국 자본계좌 개방과 중국 경제 성장의 특수한 관계를 얻어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국이 자본계좌 개방 과정에서 관련 정책 제정을 지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