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루쉰의 ‘전유’ 태도는 중국인이 서양 문화를 대하는 방식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현대적 상황에서 우리는 서구 문화에 대해 '차용'하는 태도를 취할 때 새로운 인식을 가져야 합니다. 루쉰은 전통문화에 있어서 어떤 것은 계승해야 하고, 어떤 것은 흡수해야 하며, 어떤 것은 개선해야 하고, 어떤 것은 버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실 이러한 원칙은 서양 문화를 다룰 때에도 동일하게 유효합니다. 핵심은 서구 문화의 본질을 판단하고 무엇이 좋은지, 그리고 "도입"되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마음과 비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직 '가져와서는 안 되는 것'이 있고, '가져와서' 개선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의 "가져오기주의"는 다소 순진하거나 부정확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원하는 "가져오기주의"는 서구가 원하는 "보내기주의"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서구에서 보내려는 것 중 일부는 무료이고 일부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거나 심지어 강제로 배포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서구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것들이 종종 낚시의 미끼라는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우리 중 일부는 이것이 "사용주의"의 성공의 증거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가져가고 싶은 것의 대부분은 얻을 수 없고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희망적인 생각에 따라 그것을 "얻는다면" 우리는 서구에 의해 쉽게 기소되고 처벌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서양에서 "차용주의"를 즐겁게 상상할 때, 그것은 종종 서양에서 "도둑질"로 간주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또한 "차용주의"가 때때로 "구매주의"를 의미한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주의' 역시 그러므로 내외 공모를 은폐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일부 사람들이 비밀리에 루쉰의 '사용된 교리' 개념을 대체하려는 동기가 될 수도 있다.
서구 문화에 대한 '차용 교리'와 전통 문화에 대한 '차용 교리'에는 또 다른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전통 문화의 경우 사용하고 싶다면 일반적으로 장애물이 없습니다. 사용 후 좋은지 논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현대에 어울리는가? 더욱이 전통적인 '가져오기'에는 기본적으로 무료이며, '구매 교리'도 없고, '선물 교리'도 없습니다. 그러나 서구 문화의 경우 우리는 우리에게 시급히 필요한 것 중 일부가 실제로 유용하고 좋은 것임을 발견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얻고" 싶어하며 "구매 원칙"을 완전히 구현하기 위해 많은 돈을 기꺼이 지출할 의향이 있습니다. ". 서양에서는 아직 그럴 의지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이것을 '거부주의'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서구 문화의 '빌려주기' 교리에 관해 '빌려주기'를 선택할 수 있는 두뇌와 시각을 갖는 것 외에도 우리는 '빌려주기'를 원하는 한 다른 사람들도 기꺼이 빌려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너무 희망적인 생각을 해서는 안 됩니다. 당신이 그것을 사면 다른 사람들이 기꺼이 그것을 팔 것입니다. 우리가 "얻고" 싶어하지만 거부당하고 전혀 "얻을 수 없거나" "구입"할 수 없는 것들이 있고 우리가 원하지 않거나 필요로 하지 않는 것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사실이 너무 많습니다. 꾸준한 "배달"이 이루어졌습니다.
서구에 대한 객관적이고 차분한 '획득주의' 태도도 필요하다는 점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또 다른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무엇을 가져갈까요? 복용하면 안되는 것은 무엇입니까? 왜 그것을 얻을 수 없습니까? 이런 문제에 직면했을 때 우리는 마음과 비전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떤 마음을 가져야 합니까? 당신은 어떤 비전을 갖고 있나요? 우리의 마음과 비전이 모두 서구에서 가르치고, 서구에 의해 세뇌되고, 서구와 똑같은 생각과 비전을 가지고 있다면, 우리가 "가져오는" 것과 서구가 "보내는" 것과 동일하지 않을까요? "서구의 희망으로? 그러므로 전통문화를 '가져오는' 방법을 판단할 때 서양문화를 참고로 삼을 수 있고, 서양문화를 '가져오는' 방법과 구매하는' 방법을 다룰 때에도 전통문화를 참고로 삼아야 하며, 동시에 우리는 중국의 현실을 참고자료로 삼아야 합니다. 이것이 '차용주의'에 대한 현대 중국인들의 태도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