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대출자문플랫폼 - 외환 플랫폼 - 북한의 경제개혁은 몇 년도에 이루어졌나요?

북한의 경제개혁은 몇 년도에 이루어졌나요?

북한은 덩샤오핑의 개혁 제안을 거부했기 때문에 경제 개혁을 하지 않는다. 그래서 북한은 개혁이라는 단어를 상대적으로 금기시한다.

2002년 7월 1일부터 북한은 몇 가지 경제조정 조치를 취했다. 경제조정 조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쌀 수매가격은 1kg당 0.06위안(한국달러, 이하 동일)에서 40위안으로 올랐고, 판매가격은 kg당 0.08위안에서 43위안으로 올랐다.

2. 임금을 올리고 기준을 높이세요. 지난해 8월 1일부터 군인 급여는 최대 31배, 교사 급여는 15배, 공무원 급여는 20배, 일반직 급여는 18배 인상됐다. 급여구조도 기본급 70%, 변동급 30%로 바뀌었다.

3. 외환 쿠폰을 폐지하고 채권 발행을 재개하며 은행을 통합하고 기업을 통합합니다. 1월 1일부터 북한 화폐와 외화 간 직거래 시스템이 시행되며, 더 이상 외환쿠폰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2003년 5월 1일에는 1950년대 이후 중단됐던 채권발행도 재개해 더 이상 자본주의적 문제로 여기지 않았다.

4. 추가 특별 구역을 설정하세요. 2002년 9월 신의주는 경제특구로 지정되었고, 10월에는 금강산이 관광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개성은 공업단지로 지정되었으며, 두 조례에는 "법인과 개인의 출입이 허용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기타 경제단체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으며, 그 재산은 법으로 보호된다.” 신의주특별행정구 기본법에는 더욱 강력한 조항이 있다. 예를 들어, ▲정치적 측면에서는 신의주 특별행정구에 입법·행정·사법권을 부여하고, 특구의 법제도가 50년간 변함없이 유지되도록 한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특구에 권리를 부여한다. 토지와 토지를 개발, 활용, 관리하기 위한 임대기간은 2052년 12월 31일까지 가능함 ▲특구 거주자에게 특별한 권리를 부여함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음을 규정하고 있으며, 국가, 민족, 인종, 언어, 재산, 지식 수준, 정치적 견해 및 신념. 거주권이 없는 외국인도 거주자와 동일한 권리와 의무를 누린다. ▲행정기관으로는 입법부가 신의주의 입법기관이라고 규정돼 있다. 국회의원은 북한 공민이나 주민권을 가진 외국인이 될 수 있다.

5. 농산물 시장에 대한 제한을 포기하세요. 2003년 9월 '농민시장'을 '종합시장'으로 변경하고, 판매 허용 상품을 농산물에서 공산품으로 확대했으며, 사회주의 상품 유통을 촉진하는 데 있어 농민시장의 긍정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확인되었습니다. 국영기업도 일부 제품을 종합시장에서 판매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한다.

6. 정보화에 주의하세요. 북한은 평양에 이 분야 학자들을 위한 학교를 설립했고, '비너스 아카데미'도 정보기술 전문 인재 양성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개발 대회가 매년 개최되고 있습니다.

7. 북한과 남한 간의 협력을 계속 증진하십시오. *** 협력사업에는 금강산 관광개발, 개성공단 건설, 남북을 연결하는 동서철도 건설 등이 포함된다.

8. 간부는 더 젊고 지식이 풍부하며 전문적이어야 합니다. 올해 9월 초 북한은 최고인민회의 제11기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신규 회원 686명 중 50.1%는 36~55세 회원이고, 91.9%는 학사학위 소지자이며, 89.5%는 학위 및 전문직, 과학기술인력 및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다.

위 조치는 실천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모두 달성했습니다.

긍정적인 효과: 국가의 무료 공급 감소, 대부분의 직원의 소득 증대, 생산성 향상 원자재 절감율을 높이고 곡물 구매 및 공급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개선했습니다.

부정적 영향: 재료 부족으로 인해 일부 무료 혜택이 취소되어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으며, 원자력 문제와 열악한 급여 인상으로 인해 직원의 생활 수준이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투자 환경, SAR의 투자 유치 작업은 여전히 ​​느리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은 1991년 북한의 첫 번째 개혁 시도인 1984년 초 '합작법'을 제정해 나진개척지역을 경제자유무역지대로 지정했다. 북한의 두 번째 개혁 시도. 이 두 가지 개혁의 진입점은 경제특구와 투자촉진에 있는데, 둘 다 대외 관련 경제 분야에 속한다. 2003년 7월 북한이 실시한 경제조정조치는 세 번째 개혁 시도였으며, 그 진입점은 물가와 임금 분야였다.

이는 북한이 오랜 탐색 끝에 개혁의 범위를 대외경제에서 국내경제로 전환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copyright 2024대출자문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