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대출자문플랫폼 - 외환 플랫폼 - 고정환율제도의 장점과 단점을 누가 알 수 있을까요? 원하는 수의 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을 참조하십시오

고정환율제도의 장점과 단점을 누가 알 수 있을까요? 원하는 수의 답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을 참조하십시오

고정환율과 변동환율은 두 가지 다른 환율제도일 뿐 옳고 그름의 구분은 없다. 일정 단계에서 고정 환율은 일정한 경제 구조에 비해 변동 환율보다 더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단계에서, 또 다른 경제 구조 하에서는 변동 환율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인민폐 환율제도에 대한 논쟁은 이미 여러 해 동안 계속되어 왔으며, 전반적으로 두 가지 첨예한 관점과 분석이 있다. 국제금융 연구로 노벨상을 받은 몬데일 교수와 스탠퍼드대 일본과 중국 환율제도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맥킨농 교수는 이 단계에서 가장 좋은 위안화 환율제도가 달러를 노리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국제통화기금 (International Current Fund), 투자은행 (Investment Bank), 국제학술계 등 거의 모든 국제적 영향력을 가진 경제학자들은 인민폐가 변동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고정환율과 변동환율은 두 가지 다른 환율제도일 뿐 옳고 그름은 없다. 다만 두 제도 하에서 개인, 기업, 거시경제의 행동과 조정 방식이 다를 뿐이다. 일정 단계에서 고정 환율은 일정한 경제 구조에 비해 변동 환율보다 더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단계에서, 또 다른 경제 구조 하에서는 변동 환율이 더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의 장단점을 비교할 때, 우리는 두 환율제도의 성격과 중국 경제의 발전 단계와 구조에 대해 철저히 이해해야 한다.

고정환율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정부가 개인과 기업이 환율위험을 없애고 국제무역과 투자의 거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케인스 등 경제학자들이 설계한 국제통화체계는 이 체계의 시행을 감독하는 국제통화기금 (International Current Fund) 을 포함한 고정환율제이다. 몬데일이 주창한 유로 체계도 유럽연합 국가 간의 고정 환율 체계이다. 1994-2005 기간 홍콩달러가 달러화와 연계되고 인민폐와 달러화의 연계도 고정환율제에 속한다. 분명히, 고정환율제도는 국제무역과 투자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 대외무역과 대외직접투자의 빠른 발전은 주로 1994 인민폐가 달러를 주시한 후에 발생했다.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로 변화하는 국가들에게 고정환율에는 또 다른 특수한 기능이 있는데, 이는 시장 법칙에 더 잘 부합하는 상대적 가격 체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계획경제에서 임금과 식품, 주택, 교통, 교육, 의료의 상대적 가격은 상품과 서비스의 비용과 수익을 진정으로 반영하지 않는다. 개혁 초기에 중국 도시 주민의 절반 이상의 수입이 음식에 쓰이고 주택과 의료는 거의 돈을 쓰지 않았다. 이런 상대가격체계는 성숙한 시장경제국가의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체계와는 크게 다르기 때문에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하다. 고정환율은 중국 각 업종의 상대적 가격 조정을 더욱 쉽고 평온하게 한다.

고정환율의 또 다른 장점은 국내 통화정책을 구속하여 기준 통화의 금리와 인플레이션이 이유 없이 국제 주요 통화와 크게 다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홍콩과 같은 국제무역과 자본시장을 주도하는 개방경제에 고정환율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거시경제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중국과 같은 개발도상국의 경우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제정하고 집행하는 능력이 미숙한 상황에서 고정환율도 인플레이션 기대와 거시경제 환경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인민폐가 1994 에 달러를 주시한 후, 중국의 인플레이션 기대는 빠르게 통제되었고, 심지어 아시아 금융 폭풍 기간에도 약간의 디플레이션이 있었다.

그러나, 통화정책에 대한 고정환율의 제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중국의 주택, 의료, 교육, 서비스 등의 업종의 비용과 가격이 제조업 노동생산성의 빠른 증가로 너무 빨리 올랐을 때 중앙은행은 고정환율제도 하에서 위안화 절상을 통해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중국 노동생산성의 급격한 증가로 비무역품 가격이 크게 오를 때까지 고정환율제도는 기본적으로 중국에 적용된다. 지속적인 생산성 증가는 눈에 띄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하고, 특히 비무역품 (예: 주택) 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 인민폐는 변동환율로 평가절상할 필요가 있고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쉽다. 특히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위안화 절상은 디플레이션의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

고정환율을 성공적으로 실시하려면 정부가 고정환율을 유지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이는 일본, 중국, 홍콩 특별구 등 외환보유액과 무역흑자를 많이 보유한 경제체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의 일부 일년 내내 무역적자를 겪고 있는 국가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조건이다. 아르헨티나,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및 기타 국가들은 금융위기 기간 동안 공식 환율을 유지할 수 없었다. 계속되는 무역적자로 외환보유액 손실이 발생해 환율이 변동하도록 해야 했기 때문이다.

변동 환율의 주요 이점은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는 독립적인 통화 정책 도구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개인, 기업, 은행 모두 위안화 절상에 대한 시장의 투기 위험을 포함한 환율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스탠포드 대학의 맥킨농 교수는 일본과 중국의 변동 환율의 위험에 대해 가장 철저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도덕적 모순과 갈등 이론을 제시했다. 일본과 중국은 수년 동안 거액의 무역 흑자, 즉 달러로 표시된 순자산을 축적해 왔으며, 이는 원래 절약의 미덕이었다. 이날 위안화와 위안화 절상의 기대치가 형성되고 실현된 후, 현지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평가절하된 달러를 갖고 싶지 않고 평가절상된 원화폐를 갖고 싶어 한다. 이는 해결할 수 없는 갈등과 충돌을 형성했다. 현지 주민들은 무역흑자를 통해 순달러 자산을 축적했지만 달러 자산을 보유하려 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공식 외환보유액이 크게 상승하면서 원화 발행량이 크게 늘고, 원화 금리가 하락하고, 심지어 0 금리 시대, 이른바' 화폐유동성 함정' 이 나타났다.

맥킨농의 도덕적 갈등과 갈등 이론의 기본 경제학 원칙 중 하나는 시장 환경에서 서로 다른 화폐에 투자하는 자산이 위험을 조정한 후 수익이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같은 위험으로 인민폐 자산에 대한 투자 수익은 주로 인민폐 명목 이자율 (= 인민폐 실질 이자율+중국 인플레이션율) 에 반영되며, 달러 자산에 대한 투자 수익은 달러 명목 이자율 (= 달러 실제 이자율+미국 인플레이션율) 에 반영됩니다. 그러나 인민폐가 달러에 대해 평가절상할 때, 위안화 자산의 투자 수익률에도 위안화의 평가절상율이 포함되기 때문에: 위안화 명목 이자율+위안화 평가절상율 = 달러 명목 이자율.

달러명금리가 6%, 위안화 연간 상승폭이 6% 에 이르면 중국 자본유동 개방 조건 하에서 위안화 명목금리가 0 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것이 맥킨논 교수가 인민폐가 변동환율제를 채택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인플레이션이 없을 때 (예: 1990 년대 일본) 맥킨논의 분석은 완전히 정확하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인민폐 명목환율 (인민폐 실질금리+중국 인플레이션율) 이 0 보다 훨씬 높을 수 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과 평가절상의 대체관계로 인해 위안화 절상의 압력과 속도가 그에 따라 낮아지고 위안화 명목금리가 0 으로 떨어지면' 화폐유동성 함정' 에 떨어질 위험도 낮아진다. 적정 생산성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률을 유지하면 위안화 절상으로 인한 제로 금리 위험을 줄이고 절상 압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중국의 미래 인플레이션률은 적어도 미국의 현재 인플레이션율 (약 2%-3%) 보다 높아야 하지만 일본 1950- 1970 기간의 평균 인플레이션율 (약 5%-6%) 보다 낮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인플레이션이 샐러리맨과 퇴직노동자에 미치는 영향은 임금/연금과 인플레이션 지수를 연결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copyright 2024대출자문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