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발생·확산되면서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급격하게 높아졌다.
암울한 현실에 직면한 연준은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을 무시하고 연방기금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를 바다 건너 딜레마에 빠뜨리는 것 같다.
중국 경제가 과열되고 인플레이션이 심화됨에 따라 경제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금리 인상 등 금융 긴축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대중적 견해이다.
그러나 위안화는 현재 절상 압력에 직면해 있습니다.
만약 중국과 미국의 금리가 역전된다면 더 많은 핫머니가 중국으로 유입될 것이며, 이는 금융 긴축 효과를 크게 감소시키고 자산 버블의 추가 확대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위의 견해는 사람들에게 중국과 미국의 경제 사이클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는 것 같습니다.
미국 경제는 고점을 지나 하락하기 시작했지만, 중국 경제는 아직 변곡점에 직면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그것은 세계경제에 축복이 될 것이다.
19세기 후반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금본위제에서 세계 경제가 원활하게 작동한 핵심 요인은 당시 영국의 경제 순환이 다음과 같은 세계 대부분의 경제 순환과 일치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식민지.
영국 경제가 불황에 빠졌을 때 영란은행은 금리를 낮추어 영국 자본의 수출을 촉진하고 세계 다른 지역에 대한 투자를 촉진했습니다.
영국의 경제 호황 기간 동안 세계 다른 지역에 대한 투자로 형성된 생산 능력은 영국의 수입 수요를 충족시켰습니다.
이로써 세계경제는 보완성을 형성하고 경기변동을 둔화시킨다.
그러나 경제 세계화가 심화되면서 다양한 국가의 경제 순환이 더욱 일관되게 되었습니다.
중국과 미국의 경제 발전이 순환적이라면 동기적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현재의 서로 다른 성과는 주로 양국 간 금리 인상 속도의 차이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가 미국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GDP 성장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현재 경제 사이클은 2002년에 시작되었습니다.
수정된 GDP 성장률은 2000년과 2001년 각각 8.4%, 8.3%였으나 2002년 9.1%, 2003년 10.0%로 상승했다.
이후 GDP는 기본적으로 두 자릿수 성장(2005년 9.9%에 그침)을 유지했다.
그러나 인터넷 버블 붕괴로 인해 미국 경제의 경제성장률은 전년도 4.1%에서 2001년 1%로 하락했다가 2002년 2.4%, 2003년 3.0%, 2004년 4.4%로 상승했다. .
이번 경제 사이클의 시작점에서 중국과 미국은 기본적으로 동기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양국의 금리 인상 속도를 살펴보자.
2004년 6월 30일 미국은 처음으로 금리를 1%에서 1.25%로 인상했습니다.
이후 2005년 8월, 9월, 165,438+10월, 65,438+2월, 2월, 3월, 5월, 6월, 8월, 9월, 165,438+10월 정기회의 때마다 금리가 25씩 인상되었습니다.
반면 중국은 2004년 10월 29일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했다. 중국의 정책 금리인 1년 만기 예금 금리는 1.98%에서 2.25%로 인상됐다.
그러나 그 후 2년 동안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2006년 8월 19일이 되어서야 이자율이 27bp 인상된 2.52%였습니다(2006년 4월 대출 금리가 27bp 인상되었고 예금 이자율은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이보다 두 달 전에 연준은 이번 금리 인상을 완료했습니다.
2007년에 들어서면서 경기가 '빠르게' 지속되고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상승하자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 노력에 박차를 가해 1년 만기 예금 금리를 6배나 올렸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현재 1년 만기 예금 금리는 4.14%에 불과해 8%가 넘는 CPI 상승률에 비하면 여전히 너무 낮은 수준이다.
위안화의 금리 인상이 시작된 이후에는 미국 달러화만큼 리드미컬하게 금리를 인상해 결국 2007년에는 약 8%까지 인상될 것으로 가정한다. 높지 않음).
이렇게 하면 현재의 경제 과열과 인플레이션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미국 경제가 하락하는 가운데, 중국 경제도 하락세를 보이면 연준을 따라 금리를 인하해 경기를 부양할 수 있다.
이는 경제적 상승과 하락을 피하기 위해 최고점을 줄이고 최저점을 채우는 거시경제 통제의 경기대응적 운영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중국이 미국처럼 금리를 올리면 핫머니가 중국 본토로 유입돼 위안화 절상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반박할 수도 있다.
이는 지난 몇 년간 금리 인상에 반대하는 가장 중요한 주장 중 하나였지만, 전혀 뒷받침되지 않았습니다.
첫째, 중국은 여전히 자본계정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으며 핫머니 비용이 높다.
위안화 예금 금리가 미국 달러 대비 3%포인트 높아진다고 해서 우리나라 시중은행에 핫머니가 흘러들어 금리 차이로 이익을 얻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다.
핫머니는 주로 저금리가 뒷받침되는 중국 부동산과 주식시장에 진출해 막대한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저금리가 사실상 핫머니의 미친 유입을 일으키는 주범이다.
둘째, 중국의 저금리 정책은 실제로 위안화의 절상 속도를 막지 못했습니다.
현재 위안화는 미국 달러 대비 정수 7을 초과하여 위안화로 표시되는 외환보유액에 큰 손실을 입혔습니다.
문제는 위장된 핫머니 유입(무역흑자 형태로 대량의 핫머니 유입)의 간섭으로 인해 위안화 절상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아직 알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한 가지는 분명하다. 위안화 절상을 막기 위해 채택한 저금리 정책이 국내 경제 과열, 자산 가격 급등,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점이다.
미국 경제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침체되기 시작했다.
그렇다면 중국 경제도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는 걸까?
변곡점에 직면하면 금융 긴축 없이 경제가 자동으로 냉각될 것인가?
계속해서 치솟는 인플레이션이 없었다면 누구도 중국 경제가 이번 경제성장 사이클의 정점에 도달했다고 단정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