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년 7월부터 9월까지 쓰촨성에는 극심한 폭우가 쏟아져 성 전역의 18개 현, 시, 현의 90개 이상의 현과 구에서 약 6만 건의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그 중 대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규모 산사태가 47,000건 이상 발생했습니다. 특히 분지 북쪽 가장자리의 산간지대와 중앙 구릉지대에 밀집되어 있으며, 교통을 방해하고 관개수로, 농경지, 산림을 파괴하고 74,000채 이상의 가옥을 파괴하고 60,000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킵니다. 많은 수의 산사태, 시간에 따른 집중, 그리고 이로 인한 재해의 심각성은 모두 역사상 드문 일입니다.
본 글에서는 용천산과 쓰촨성 중부 구릉지대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사태 40건에 대한 현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2010년 중 용천산 유역에서 발생한 암석 산사태의 주요 특성과 예방대책에 대해 사전 논의를 진행했다. 이 큰 비.
1 조사지역의 호우 특성과 지질개요
1981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 조사지역의 호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1) 폭우는 집중된 시간에 높은 강도로 발생합니다. 3개월 동안 내리는 강수량의 대부분은 며칠 내에 내립니다. 7월 13일경에 첫 번째 폭우가 발생하여 최대 강도는 262.7mm/d에 이르렀고, 8월 15일경에 두 번째 폭우가 발생하여 9월 2일경에 세 번째 폭우가 발생하여 강도가 278.9mm/d에 달했습니다. .
(2) 폭우의 분포에는 지역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청두시 룽취안산(龍泉山) 지역에 2차례의 폭우가 발생했는데, 그 중 7월 13일에 극심한 폭우(>200mm/d)가 발생했고, 쑤이닝(Suining)에서는 3차례의 폭우가 발생했지만 극심한 폭우는 발생하지 않았다. 7월 13일 최대강우강도는 199.4mm/d에 이르렀다. 룽취안산(龍泉山)의 작은 지역에서도 뚜렷한 차이가 있다. 결재면(桂灰縣)은 7월 13일에 폭우를 겪었고, 핑안면(Pingan Commune)에서는 7월 12일과 13일 이틀 연속 폭우를 겪었다.
위의 폭우의 특징은 이 글의 뒷부분에 나오는 논의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조사 지역은 쥐라기와 백악기 대륙의 적색쇄설암이 분포하는 지역이다. 용천산(龍泉山)은 조사지역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맥은 북북동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산맥의 분수계는 배사축과 거의 일치한다. 배사선은 쥐라기 중기의 샤시먀오층(Shaximiao Formation)을 노출시킨다. 상부 쥐라기 Penglaizhen 층과 백악기의 벽돌색 사암과 이암으로 이루어진 층간 암석층. 조사지역의 나머지 부분은 구릉지대이며 수녕층, 봉래진층, 백악기의 암석층이 각각 노출되어 있으며 암석층의 형성은 완만하고 경사각은 일반적으로 3° 미만이다. 용천산 배사선의 두 날개를 연결하는 대규모 역단층과 구릉지의 완만한 구조물을 제외하면 다른 부분에서는 큰 단층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특히 경계면에서 층간 전위의 징후가 매우 흔합니다. 사암과 이암 사이. 지층에 거의 직교하는 평면 x열열의 4개 그룹은 일반적으로 암석층에서 발달하며, 그 발생 위치는 N10°W, N80°E, N60°W 및 N40°E입니다.
이 지역의 경사 모양은 분명히 지질 구조에 의해 통제됩니다. 구릉 지역과 배사축 지역의 암석층은 완만하고 대부분 계단식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사암이나 미사암이 토대를 형성하고 이암이 단을 형성합니다. 배사선 양측의 암층 경사각이 20°이상인 지역은 경사방향을 따라 일측의 산사면을 이루고, 지형의 경사각은 암층의 경사각과 거의 일치한다. 반대 방향으로는 능선과 같은 가파른 경사면이 형성되고 테라스는 종종 이암으로 구성됩니다.
2 산사태의 형성 메커니즘과 안정성 분석
폭우시 산사태는 지질 구조와 형태가 다양한 거의 모든 경사면에서 정도가 다르지만 지질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다 구조는 다양하며 미끄럼-당김-균열 산사태, 미끄럼-압축-균열 산사태, 소성 흐름 산사태(토양 상승), 미끄럼 균열 산사태 및 미끄러짐 균열 산사태의 6가지 범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슬럼프. 공간 제한으로 인해 이 기사에서는 더 위험하고 더 일반적으로 분포되는 세 가지 유형의 산사태, 즉 미끄러짐-밀기형, 미끄러짐-압축형 및 미끄러짐-굽힘형에 중점을 둡니다.
2.1 밀기형 미끄러짐-당김형 산사태
2.1.1 형성 메커니즘 및 조건
이러한 산사태 유형의 기본 특징은 미끄러지는 표면이 수평적으로 가까우면 산사태 잔재물은 미끄러지는 방향을 따라 크게 네 부분, 즉 미끄럼 블록, 붕괴 구역, 앞쪽 가장자리 돌출 구역 및 뒤쪽 가장자리 붕괴 구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그림 1). 슬라이드 블록은 여전히 암반의 원래 구조를 대략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종방향 및 횡방향 균열이 발생할 수 있지만 암석의 발생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습니다. 경사면 앞쪽 가장자리의 경사면 기슭에서 융기 및 돌출 영역이 때때로 보일 수 있습니다. 경사면 앞에 과부하가 있는 경우, 과부하에서 융기 접힘 또는 과도한 추력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더의 뒷면은 가파른 경사의 균열 표면을 따라 뒤로 미끄러지거나 뒤로 휘어져 균열 변형 또는 심지어 넘어질 수 있습니다. 슬라이더 윗면의 표고는 미끄러지기 전의 위치와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으며, 둘을 연결하는 선의 기울기는 미끄러짐 방향을 따라 암석층의 겉보기 기울기와 유사하여 슬라이더가 바깥쪽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큰 회전 없이 레이어를 따라 이동합니다. 붕괴 구역에 있는 슬라이드 블록의 뒷면은 슬라이드 블록이 미끄러져 나올 때 암석 덩어리가 떨어져 나가면서 발생합니다. 일부 터널에는 여전히 깊이가 10미터가 넘는 인출 균열에 의해 형성된 터널이 있습니다. 침하 구역은 슬라이더의 뒤쪽 가장자리에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물질로 채워질 수 있습니다.
위의 특징은 산사태가 매우 완만하거나 심지어 약간 경사진 경사면의 약한 표면(또는 구역)을 따라 경사면 밖으로 슬라이더가 미끄러지면서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급격한 미끄러짐은 주로 뒷전 틈에서 간극수압이 밀려나는 것과 미끄러짐 표면에서 간극수압이 지지하는 효과에 의해 발생하며, 그 전개과정은 대략 3단계로 나눌 수 있다(그림 2).
2.1.1.1 변형 단계(그림 2의 ①②)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이러한 산사태가 발생하는 모든 경사면은 미끄러지기 전에 상당한 변형을 경험했으며 주로 소성 유동 견인 변형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배적이다. 즉, 사면 기슭 근처의 약한 암반층은 위에 있는 암반의 무게 작용으로 사면 외부에서 소성 흐름을 생성하여 약대를 따라 사면체를 끌어당기고, 이 당기는 균열은 약한 암반에서 시작됩니다. 인장 균열이 연결되어 사면의 물 흐름이 사면 본체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듭니다. 정상적인 강수량에서는 균열의 배수로 인해 수위가 빠르게 상승하기 어려우므로 강한 간질 수압을 발생시켜 슬라이더가 시작되고 미끄러지게 할 수 없으며 변형의 발달만 촉진할 수 있습니다.
2.1.1.2 슬라이더 시동 및 제동 단계(그림 2의 ③)
폭우가 내리면서 뒷전 인장 균열의 물 충전 높이가 임계 높이 hcr에 도달할 때 , 슬라이더가 즉시 시작됩니다. 암석층이 수평인 경우 hcr은 다음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얕은 지각층과 인간 공학
여기서: w는 슬라이더의 자중, l은 슬라이딩 표면의 길이, Φ는 슬라이딩 표면의 내부 마찰각입니다.
그림 1 수평 밀기 산사태의 단면도
슬라이더가 시작되면 뒷전의 균열이 열리고 동시에 물이 채워진 기둥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 간극수의 추력과 미끄럼면의 지지력도 급격하게 감소하며 간극수압의 상실로 인해 슬라이더가 스스로 제동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산사태가 슬라이더의 시작부터 제동까지의 시간은 매우 짧으며 일반적으로 불과 몇 초에서 10초 이상입니다.
슬라이더 경사면 기슭의 흙층과 그 앞쪽 가장자리가 지지하는 힘이 뒤쪽에 비해 훨씬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지역은 실제로 미끄러짐 저항 역할을 하므로 돌출부, 습곡부, 심지어 추력 단층으로 밀려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2.1.1.3 붕괴 영역 채우기 및 슬라이딩 몸체 다짐 단계(그림 2의 ④)
슬라이더가 슬라이딩을 멈춘 후 슬라이더의 백슬라이딩, 전도 및 후행 가장자리는 붕괴지대는 붕괴와 미끄러짐에 의해 채워지고, 미끄러지는 몸체는 점차적으로 압축되어 안정된다.
이런 유형의 산사태는 층이 완만한 경사면에서 발생하기에 적합합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는 기본 이암과의 접촉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사암 또는 미사암 몸체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쑤이닝층 암석에는 반대의 상황이 존재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즉 미끄럼블록은 이암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끄럼층은 미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원래의 두꺼운 층의 거대한 이암이 풍부한 것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칼슘과 석고에서 이는 구조적 균열의 발생과 하역 후 실트암 중간층보다 물이 더 풍부하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형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산사태에 더 유리한 위치는 능선, 단독 포장 및 산 입구입니다. 이러한 위치의 암석은 느슨하고 하역 균열이 발생하며 종종 경험되었습니다. 장기간 변형이 발생하면 세 개의 빈 면이 미끄러지는 데 더 도움이 됩니다.
2.1.2 안정성 평가
이러한 산사태의 발생은 주로 간극수압의 영향으로 발생하므로 미끄러짐 후 뒷전이 갈라지고 붕괴됩니다. 투수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붕괴대의 중심이 높고 끝이 낮아 배수에 유리하므로, 이후 집중호우시 간극수압 높이를 임계치에 도달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산사태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입니다. Zhongjiang 현의 Laizilonggu 산사태(그림 3)와 Suining 현의 Hengshanlao 산사태(1976년 6월 발생)에서는 이 폭우 기간 동안 전반적인 미끄러짐의 징후가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그림 2 산사태 진화 과정
이러한 유형의 산사태 분포 지역에서는 다음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1) 경사 캠버로서 슬라이딩 표면의 각도가 커질수록 전체 안정성이 점차 감소하고 강우에 대한 반응이 더욱 민감해집니다.
(2) 침하대가 채워지고 침적되면 폭우로 인해 채워지는 토양이 포화되고 부드러워지면 간극수압의 영향과 결합하여 소성 흐름이 발생합니다. 전체적으로 다시 미끄러지게 된 중장현의 덩 가족 조상 산사태가 전형적인 예입니다. 9월 2일 폭우기간 동안 슬라이더가 후방 경사면의 잔토에 밀려 2.2m 옆으로 천천히 미끄러지면서 수로의 어두운 아치가 무너졌다(그림 3).
그림 3 Dengjiaci 산사태의 종단면
(3) 미끄러진 유적의 국지적 변화. 예를 들어, 라이쯔롱 산사태의 경우, 라이쯔롱 지역에서는 산사태 잔해가 여전히 부분적으로 붕괴될 수 있으며, 잔해의 뒷부분이 무너지면서 국부적인 붕괴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슬라이드 몸체가 물을 흡수하여 전면에 지하수를 발생시킵니다. 가장자리가 넘쳐 토양이 부드러워지고 토양이 오를 수 있습니다.
2.2 미끄럼 압력으로 인한 인장 산사태
2.2.1 형성 조건 및 형성 메커니즘
이 유형의 산사태의 형성 조건은 전자와 유사합니다. , 일반적으로 완만하게 층을 이루는 암석체의 경사면에서 발생합니다. 산사태는 외관상 여러 개의 역경사 단계를 보여줍니다(그림 4A). 산사태의 암석층은 분명히 역전되어 있으며, 이는 산사태 중에 회전하여 여러 개의 2차 산사태로 분해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더 짧은 시간(분에서 몇 시간) 내에 더 빠르고 안정화됩니다.
슬라이드 본체의 각 분할된 슬라이드 블록은 후미 부분에 급격하게 경사진 원호 모양의 슬라이딩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림 4B). 따라서 슬라이드 본체를 아래쪽으로 미는 힘으로 인해 슬라이드 본체의 중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분력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폭우로 인한 미끄럼면의 연화와 간극수압은 산사태의 유발요인이 됩니다. 호형 미끄럼면은 미끄럼 압축균열에 의한 점진적인 손상으로 발달하며, 그 진화 과정은 대략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림 4 미끄럼 압축 균열 유형 산사태 프로파일
그림 5 미끄럼 압축 균열 유형 미끄럼 전개 그림
2.2 하역 반동 미끄러짐 단계(그림 .5a)
사면 형성 과정에서 경사체는 공기 방향으로 반동하여 미끄러지며 미끄러짐 표면에 수직으로 인장 균열이 발생합니다.
2.2.1.2 압축으로 인한 인장 균열 표면의 팽창 단계(그림 5b, c)
사면체 응력의 작용으로 변형이 발생하고 압축이 발생합니다. - 유도된 인장균열 표면은 자동으로 계속 팽창하며 아래에서 위로 팽창하여 가파른 경사의 계단면을 형성하지만 사면체는 약간 회전하지만 전체는 여전히 안정된 파단단계에 있다.
2.2.1.3 계단 표면 관통 단계(그림 5d)
계단 표면은 응력 집중 구역이 되고, 가파르고 완만한 모서리의 키메라는 전단되고, 부서지고, 팽창됩니다. 경사면이 하나씩 크게 회전하기 시작하여 경사면이 부풀어 올랐습니다. 후단의 인장균열은 폐쇄되고 이때 변형은 점진적인 파괴단계에 진입하게 되며, 일단 키메라가 완전히 전단되면 상승하는 간극수압에 의해 관통면을 따라 산사태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폭우 기간 동안 빠르게.
위의 분석을 토대로, 집중호우 시 이러한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사면은 미끄럼 압축에 의한 인장균열 변형이 상당 부분 진행된 사면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후행로). 가장자리 계단 표면 관통 단계) 사면의 경우 10년 전 용천산 신안 산사태가 발견되었으며 사면에 폭 20cm, 길이 30m의 균열이 있어 사면이 붕괴되기 전에 상당한 변형과 변형을 겪었음을 입증하기에 충분합니다. 산사태가 발생했습니다.
그림 6 우동 산사태 종단면
2.2.2 안정성 평가
산사태가 시작된 후 지하수의 분산으로 간극수압이 감소하고 산사태 자세에너지가 감소함에 따라 산사태는 점차 안정됩니다. 이때 슬라이딩 몸체의 평균 경사는 매우 완만해졌지만 슬라이딩 표면은 급격하게 기울어진 원호 모양이므로 이후의 폭우 기간 동안 국부적이거나 심지어 전체적인 슬라이딩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이안 산사태가 간극수압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안정계수 F=1.48, 간극수압의 지지력과 수평밀기를 고려하면 F=0.87로 미끄럼체는 안정하다. 즉, 폭우가 내리는 동안에도 미끄러질 것입니다. 이 폭우 기간 동안 Shehong 카운티의 Wudong 산사태(그림 6)와 Santai 카운티의 Simaoya 산사태가 부활한 것은 강력한 증거입니다. 따라서 건물과 주거지역은 산사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대피해야 합니다.
2.3 미끄러짐 굴곡 산사태
2.3.1 형성 조건 및 형성 메커니즘
이러한 유형의 산사태는 주로 배사 날개의 암석 지층 경사면에서 발생합니다. 용천산(龍泉山) 경사가 20° 이상인 단면 산 경사면에 위치.
산사태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블록, 트레일링 에지 장력 붕괴 구역, 전면 융기 벨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그림 7). 그 특성은 푸시형 슬라이드-장력 산사태와 매우 유사하지만 전면이 가장자리 융기 폴드 벨트는 융기 언덕 뒤쪽에 구덩이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사태가 시작된 후 일반적으로 반나절 이상 지속됩니다. 순허4팀의 산사태는 24시간 동안 지속됐다. 미끄러진 거리는 약 8m에 불과하다.
미끄러짐 표면이 직선이고 경사면 끝부분에 공기가 없는 경우 앞쪽 가장자리 능선 구역은 대부분 경사면 끝부분 근처에 발생합니다. 이는 도랑에 의해 씻겨지는 반경사 부분과 미끄럼 표면이 얕게 묻혀 있는 부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끄럼 표면이 숟가락 형태인 경우 미끄럼 표면이 발의 공기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급경사 변화가 완만한 곳에서 미끄럼면이 형성된 곳에서 폴드 벨트가 발생합니다.
사면암절곡의 기계적 메커니즘. 오일러 이론을 분석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림 8).
Φ가 미끄러지는 표면의 내부 마찰각이라고 가정하면 암석층에 습곡을 생성할 수 있는 임계 하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얕은 지각층과 인간 공학
또는
얕은 지각층과 인간 공학
오일러의 이론에 따르면:
얕은 지각층과 인간 공학
(2)를 방정식 (1)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얕은 지각층과 인간 공학
공식에서: γ는 암석층의 부피 밀도, E는 암석층의 탄성 계수이며, 다른 기호는 그림 8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암의 탄성계수를 5000kg/cm2, 부피밀도를 2.5로 가정하면 돔산사암층의 좌굴에 대한 임계응력은 50.77kg/cm2로 계산된다. 편백나무 숲의 산사태는 48.89kg/cm2였습니다.
간극수압의 작용 하에서 슬라이딩 몸체가 시작될 때 슬라이딩 추력의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얕은 지각층과 인간 공학
따라서 계산됩니다. 아치등 산사태가 시작될 때 σ=5.15kg/cm2가 발생하였고, 편백나무 숲 산사태가 시작될 때 σ=6.27kg/cm2가 발생하였다. 이는 암석 형성 좌굴에 필요한 임계 응력보다 6~10배 더 작습니다.
그림 7 미끄럼 굴곡 산사태의 종단면
이 조건에서 암석층의 좌굴에 대한 임계 길이는 식(3)에 따라 계산됩니다. 260m, 검은편백나무 숲 길이는 294m인데, 2건의 산사태 실제 길이는 각각 90m와 110m로 계산된 값보다 약 2.5~3배 정도 짧다.
위의 분석을 보면 미끄러짐 시 미끄러짐 추력이 암석층을 좌굴시킬 만큼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산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암석층이 미끄러짐 굽힘 변형을 겪었다고 볼 수 있다. (헤이바이 슈린 산사태의 앞쪽 가장자리) 이러한 변형의 징후가 발견되었습니다.) 폭풍우가 치는 동안 산사태는 미끄러짐 표면의 연화, 간극수압의 촉진 및 기타 요인의 지원으로 인해 산사태로 발전합니다. 진화 과정은 대략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그림 9).
그림 8 경사 암반 습곡의 기계적 메커니즘 분석
2.3.1.1 크리프 - 약간의 굽힘 단계(그림 9a)
데이터는 이러한 유형의 산사태가 주로 경사면 밖의 층상체 경사면에서 발생하며, 약한 표면의 경사각이 표면의 잔류마찰각보다 크다.
경사 응력의 장기적인 작용으로 암석층이 크리프되어 경사면 기슭 근처에서 융기 및 굽힘이 발생합니다.
2.3.1.2 슬라이딩 - 강한 굽힘 단계(그림 9b)
강한 간극수압과 같은 유발 요인의 작용으로 암석층은 약한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뒤쪽 가장자리는 균열을 당기고, 앞쪽 가장자리는 강한 굽힘 돌출을 생성하고 단면에는 미끄러짐이 있으며, 경사면 기슭 근처의 이러한 "하중 감소"는 깊은 변형의 발달을 더욱 촉진합니다.
그림 9 슬립-벤드 산사태의 진화 그림
2.3.1.3 계속되는 변형 - 슬라이드 아웃 단계(그림 9c)
계속되는 변형으로 인해 변형이 발달하여 미끄럼면이 연결되어 산사태로 발전합니다.
이것은 숟가락 모양이나 '의자' 모양의 미끄러짐 표면에 따라 다릅니다. 강한 굽힘은 미끄럼면의 전환점에서 발생하며 절단면을 형성하지 않고 원래의 약한 표면을 따라 미끄러집니다.
2.3.2 안정성 평가
이러한 유형의 산사태가 시작되면 앞쪽 가장자리 능선이 강화됨에 따라 암석층이 부서지고 미끄러짐 저항도 감소합니다. 전체 경사면의 성적 악화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균열의 추가 발달로 인해 지하수가 빠르게 분산되고 간극수압이 급격히 감소하며 미끄러짐 추력도 급격히 감소합니다. 따라서 일부 슬라이딩체는 이제 막 국부적인 절개면을 보이기 시작했고, 일부는 절개면이 없이 앞쪽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능선만 있다가 점차 안정되기 시작했습니다. 숟가락 모양의 슬라이딩 표면을 가진 일부 슬라이딩 몸체는 아직 슬라이딩 표면을 관통하지 않았으며 슬라이딩 몸체의 앞쪽 가장자리는 뚜렷한 변위 없이 미끄러짐을 멈춥니다. 이러한 특성은 이후의 폭우 기간 동안 국부적인 변형이나 심지어 전체적인 미끄러짐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9월 3일 중장현에서 발생한 모쯔완(Moziwan) 산사태는 이러한 유형의 산사태가 다시 발생하는 전형적인 예이며, 약 600m 길이의 수로와 300채 이상의 가옥에 피해를 입혔습니다. 따라서 산사태 발생 지역 및 전방 가장자리에 위치한 건물은 대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폭우 기간 동안 산사태 발생 및 발달에 대한 특정 규칙과 경사면 안정성 예측
3.1 몇 가지 기본 규칙
3.1.1 산사태와 산사태의 관계 산사태 발생과 폭우 특성의 관계
(1) 폭우가 산사태에 미치는 영향은 그 정도에 따라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① 출발형 - 미끄럼틀의 미끄러짐은 주로 폭우에 의해 발생 비, 밀고 당기는 평탄한 균열형 산사태 ② 유도형 - 폭우에 의한 간극수압과 미끄럼면의 연화는 유도작용만 하고 미끄럼체 자체의 무게는 미끄럼 성분이다. 미끄러짐 압력에 의한 인장 균열 유형 및 미끄러짐 곡선 산사태 등과 같이 미끄러지는 동안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폭우에 대한 산사태의 민감도에 따르면, 이 세 가지 유형의 산사태는 모두 산사태에 필요한 임계 강우 강도에 도달하는 한 신속하게 반응합니다. 미끄러질 것이다.
(3) 심각한 폭풍우 강도에 관해. 청두시 룽취안산(龍泉山) 지역에서는 폭우 기간 중 산사태가 가장 많이 발생한 날이 7월 13일이다. 이날 폭풍우 강도는 262.7mm/d로 일부 지역에서는 강도 145.2mm/d의 폭우가 발생했다. 그러나 7월 12일에는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았고, 산사태는 주로 9월 2일에 발생했으며, 7월 13일에는 폭풍우 강도가 160mm/d에 도달했으며, 산사태 발생 건수는 많지 않았습니다. 7월 13일 쑤이닝현의 폭풍우 강도는 199.4mm/d에 이르렀고 기본적으로 기반암 산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7월 3일 룽창현의 폭풍우 강도는 253mm/d로 33건의 산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위의 상황과 국내외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암석 산사태의 임계 폭풍우 강도를 초기에 250mm/d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3.1.2 산사태 형성과 지질 환경의 관계
(1) 미끄러지는 표면으로 발달하는 약한 구조 표면은 주로 이암과 사암 또는 미사암 사이의 접촉 표면입니다. 빨간색 레이어. 상부 몸체에는 균열이 발생하고 투수성이 강해 강우가 침투하고 간극수압이 더 높게 형성됩니다.
(2) 산사태 유형은 분명히 암석 형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용천산 안사축과 중산간 지역에서는 암석의 경사각이 10° 미만이고, 용천산의 양쪽 날개에서 밀기형 미끄럼 인장 균열과 미끄럼 압력 균열형 산사태가 주로 발생합니다. 이 지역에서는 암석의 경사각이 20°보다 큽니다. 이 지역에서는 주로 미끄럼 굴곡 산사태가 발생합니다.
(3) 다양한 유형의 산사태 분포와 지형 간의 관계. 미끄러짐-당김 미끄러짐 및 잡아당김-균열 산사태 및 미끄러짐-압축 잡아당김-균열 산사태는 일반적으로 능선 입구 또는 유역 입구와 같은 장소에서 발생하거나 숟가락 모양의 미끄러지는 표면을 가진 미끄러짐 굽힘 산사태가 근처에서 더 흔합니다. 계곡, 이는 계곡의 언더커팅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공기 상태가 약한 구조적 표면을 남기고 매끄러운 표면의 미끄러짐 곡선 산사태의 후미는 능선에서 시작될 수 있으며 출구는 계곡에 가깝습니다. 맨 아래.
3.1.3 산사태 형성과 인위적 요인의 관계
(1) 산 근처의 물 전환 수로는 균열이 발달한 풍화 암석에서 종종 굴착되며, 일부는 이후에 굴착되지 않습니다. 누수 방지 처리: 폭우 기간에는 경사면의 물이 수로에 빠르게 모여 지하수에 풍부한 물을 공급합니다. 일부는 심지어 수로를 채우고 특정 수두를 유발하여 백화사(白河寺)와 산사태를 일으킵니다. Shehong 카운티의 Laohu. Zui, Shizishan 및 Chaiwanya와 같은 여러 수로의 산사태가 수로 바닥을 따라 끌려갔습니다.
(2) 일부 지역의 석재 채굴은 산허리 암석층에 깊은 채석장 구덩이를 남기며, 폭우가 내리면 다량의 산수가 이곳에 모여서 산사태 발생을 촉진합니다. 한의과대학 산사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3.2 사면 안정성 예측
1981년 폭우의 '청소' 이후, 사면의 명백한 변형은 대부분 산사태로 발전하여 숨겨진 위험이 노출되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몇 년 동안은 더 집중적인 폭우가 내리지 않는 한, 이렇게 광범위하고 많은 산사태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측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1) 호우 분포에는 지역적, 지역적 차이가 있으므로, 1981년에 강도 250mm/d를 초과하는 호우를 경험하지 않은 지역은 앞으로도 여전히 호우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산사태가 많이 발생합니다.
(2) 1981년에 임계 수준을 초과하는 폭우가 내린 지역에서는 변형되었지만 아직 산사태(예: 미끄러짐 굽힘 변형)로 발전하지 않은 지역이 계속해서 산사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후 폭우 기간에는 산사태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3) 위에서 언급한 여러 유형의 산사태는 향후 폭우 기간에 안정성 성능이 다를 수 있습니다. 복원 및 예방 작업은 미끄러짐 압력으로 인한 인장 파괴 유형과 미끄러짐 굽힘 유형으로 구분되어야 합니다. 산사태를 핵심 포인트로 꼽았습니다.
3.3 예방 및 통제 대책
산사태의 안정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뒷전의 갈라진 침하지대를 메우고 배수시설을 건설해야 하며, 슬라이드 본체의 웅덩이를 제거하고 물 전환을 수행해야 합니다. 표면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채널에 효과적인 누수 방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미끄러짐 굽힘 산사태의 경우 위의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 외에도 강력한 융기 벨트의 대규모 굴착도 피해야 합니다. 9월 2일 폭우 기간 동안 모지완 산사태가 부활한 이유는 해당 지역을 따라 굴착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굴착 벨트는 일정한 관계가 있습니다. 가벼운 수로를 사용하여 벌지 벨트 앞의 플랫폼을 통과하면 안정적인 상태가 파괴되지 않습니다.
또한, 산사태 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모니터링과 기상예보(특히 강도 250mm/d 이상의 호우 예보)를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