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사례를 사용하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금 미국의 경우 무역 적자가 분명한데 CPI를 보면 미국이 현재 적자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가 소비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심각한 시장 약화는 수요 감소로 인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중국의 경우 현재 중국이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은 분명한데 CPI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이 지금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이유는 막대한 외환보유액으로 인해 국내 통화가 과도한 금액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1990년대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던 러시아를 보면 알 수 있다. 당시 러시아는 무역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역사를 정리하면 헷갈리지 않을까요? 그렇다, 경제는 본질적으로 이렇기 때문에 한두 가지 이론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꼭 답이 필요하다면, 국제금융 지식을 활용해 소위 이론적 답만 드릴 수 있을 뿐입니다. 왜냐하면 "실질환율=명목환율 인플레이션"이고, 무역흑자가 실질환율을 상승시키기 때문입니다. 명목 환율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경우, 종종 실질 환율의 내부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무역 흑자는 쉽게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이론은 산적론이고, 이 공식은 위안화 절상을 옹호하는 이들의 이론적 근거이기도 하다. 무역흑자가 국내 인플레이션을 쉽게 촉발할 수 있다는 것이 주류 견해다.
이 주류 견해에 대한 가장 최근의 지지는 Shuipi Zatan의 "제발, 가능한 한 빨리 금리를 올려주세요"입니다. 다음은 이 블로그 게시물에 대한 링크이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이 견해에 반대합니다. 이것은 서구의 속속경제에 불과하다.
/news/3123, 20101203108627248.html
참고: Shuipi, China Times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