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 - 대출자문플랫폼 - 외환 플랫폼 - 우리 나라의 자본계정이 개설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 나라의 자본계정이 개설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자본계정자유화를 둘러싼 이 논쟁에서 나는 운동선수가 아닌 방관자이자 응원자이다. 자본계좌개설은 우리나라의 현대화 과정에서 반드시 넘어야 할 문턱이자, 극복하기 어려운 문턱일 수도 있다. 다른 개발도상국의 경험으로 볼 때, 이 문턱을 제대로 넘지 못하면 원래 잘 발전하던 경제가 갑자기 붕괴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를 토대로 국내 학계에서 이 문제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는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습니다. 나는 이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타당하고 사실을 제시하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주장에 대해 이 토론의 찬반 양론 모두에게 축하를 전하고 싶습니다. 국가의 주요 현안들에 대해 이러한 합리적인 논의가 절실히 필요합니다. 나는 치어리더로서 찬반토론을 멀리서 듣고 여러 기사와 주장에 박수를 보냈고 나중에 내가 박수를 보낸 것이 Yu Yongding, Zhang Ming, Zhang Bin의 기사를 포함하여 반대 측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Weibo) 및 Wei Shangjin. 제가 치어리더 시절 부정적인 주장에만 박수를 보냈던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나는 지난 몇 년간 개발경제학을 연구해왔는데, 세계은행에서 돌아온 뒤 개발경제학의 제3의 물결로 신구조경제학을 강력히 주장했다. 개발경제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국가의 장기적인 경제성장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 지속적인 산업 업그레이드, 인프라 및 제도적 장치의 지속적인 개선을 포함하는 구조적 변화와 변화의 과정이어야 하며, 투자에는 자본이 필요합니다. . 이론적으로 선진국의 자본은 개발도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수익률도 낮다. 기술혁신, 산업 고도화, 인프라 개선 등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에 자금이 흘러간다면 개발도상국에는 이익이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 선진국으로 갈수록 자본수익률이 높아지는 것도 좋은 일이다. 이러한 자유로운 움직임은 윈윈(win-win)이어야 하며 환영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노벨상 수상자인 루카스는 관찰을 통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본이 실제로 자본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에서 자본이 풍부한 선진국으로 흘러간 것이지 그 반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것이 유명한 루카스 퍼즐입니다. 기술혁신과 산업 고도화에 있어서 개발도상국은 후발국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이들의 경제 발전은 선진국보다 빨라야 합니다. 실증적으로 볼 때, 노벨상 수상자 마이크 스펜서(Mike Spencer)가 이끄는 성장위원회의 연구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부터 현재까지 오직 13개 경제만이 상대적으로 잘 발전하여 연간 7배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하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5년 이상. 세계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오랫동안 저소득 또는 중소득 함정에 갇혀 있었습니다. 성장위원회(Growth Commission)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 13개의 고성과 경제는 5가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높은 저축률과 높은 투자율이다. 실제로 이들 13개국 경제가 급속도로 발전할 당시에는 저축률이 매우 높아서 높은 투자를 위한 자본은 주로 국내축적에서 나왔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아시아의 일본, 한국, 대만입니다. 단기 자본 흐름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외채와 외국인 투자도 환영받지 못합니다. 즉, 개발도상국의 자본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더라도 급속한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 저소득에서 중소득으로 전환하여 최종적으로 고소득 경제가 될 만큼 충분한 자본을 축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가능한 전제는 무엇입니까? 나는 이를 신구조경제학에서 설명했는데, 이는 각 시점의 요소부여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비교우위에 따라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것이며, 이렇게 해서 형성된 산업은 경쟁우위를 갖게 되고 국제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시장은 가장 높은 이익과 가장 큰 흑자를 누리고 있으며 투자 수익도 가장 높을 것입니다. 잉여가 많을수록 더 많은 자금을 축적할 수 있고, 투자 수익률이 높고, 축적 의지가 높으며, 자본 축적이 빠르고, 더 많은 투자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으며, 기술 혁신, 산업 업그레이드 속도가 빨라집니다. , 인프라 개선과 경제 발전도 가속화될 것입니다. 자본 개방의 장단점 비교 위의 새로운 구조경제학 분석에서 개발도상국은 자본 계정을 개방해야 할까요? 자본 계좌 개설에는 세 가지 주요 영역이 있습니다. 하나는 국내 은행과 외국 은행 또는 국내 기업 간의 국제적으로 직접 자금을 차입하는 대출이며, 세 번째는 단기 자본 흐름, 주로 증권 투자입니다.

왜냐하면 미국 노동력은 실직 후 한 달 동안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한 노동 시장에서 철수한 것으로 간주되어 실업 통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노동시장에서 철수한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실업률은 여전히 ​​매우 높다. 정부 부채는 높습니다. 정부가 오래된 부채를 상환하기 위해 새로운 부채를 조달하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선진국은 분명히 매우 느슨한 통화 정책을 채택할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다른 나라의 자본계정이 열려 있으면, 특히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이 되려는 중국 같은 나라의 자본계정이 무방비 상태라면 단기 순환자본이 빠르게 유입될 것이고, 그 결과 큰 유입은 필연적으로 큰 유출이 될 것이고, 경제는 큰 변동이 있을 것이고 심지어 위기가 발발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먼저 열어보고 작동하지 않으면 다시 가져갈 수 있나요? 개방한 뒤 다시 가져오려고 하면 국내외 기득권층이 나서 반대하는 게 현실이다. 태국이 처한 상황이다. 정부가 통제를 강화하려 하면 국내외 단체들이 즉각 공격을 가해 결국 정부는 위기가 터진 뒤에야 포기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자본계정을 개설하는 것은 마치 샘물이 동쪽으로 흐르는 것과 같아서, 일단 개설되면 되돌리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학자로서 우리는 자본계정 자유화를 연구의 전제로 간주할 수 없습니다. 이는 선진국, 주로 월스트리트의 이익을 위해 선진국이 제시하는 기존 이론을 받아들이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 자신의 이론을 세우고 자본 계정의 다양한 측면이 열려 있는지에 대한 찬반은 물론 수혜자와 피해자도 명확하게 연구해야합니다. 또는 국제 협상 테이블에서 국제 기관 및 당사자와 마주할 때, 선진국이 우리에게 압력을 가할 때만 우리는 어떤 계좌를 개설할 수 있고 어떤 계좌를 개설할 수 없는지 자신있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북경대학교 국립발전대학 교수이자 전 세계은행 수석경제학자이다.

copyright 2024대출자문플랫폼